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국정감사 증인 신청 명단에 대거 이름을 올렸다. 증인 명단은 26~27일 상임위원회별 또는 여야 지도부 간 협상 결과에 따라 확정된다. 재계에서는 윤석열 정부에서 처음 진행되는 올해 국감에서도 대기업 총수들 '흠집내기' 재탕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26일 국회에 따르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 회장 등 주요 기업 총수를 국정감사 일반 증인으로 신청했다.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A의원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증인으로 신청했다. 삼성그룹 전체 계열사에서 노사협의회를 통해 다른 노조 활동을 무력화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노사협의회는 회사를 대표하는 사용자 위원과 직원을 대표하는 근로자 위원이 참여해 임금 등 근로조건을 결정하는 삼성의 협의 기구다. 삼성은 매년 노사협의회를 통해 임금인상률을 정해오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은 2020년 5월 "더는 삼성에서 '무노조 경영'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며 "노동 3권(단체행동권, 단결권, 단체교섭권)을 철저히 보장하겠다"고 밝혀 노조활동을 허용한 바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는 국민의힘 B의원이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을 노란 봉투 법 관련 증인으로 신청했다.
'노란봉투법'은 불법적인 파업 등 노조 활동으로 회사에 재산상 손해를 끼쳤더라도 기업이 노조나 조합원에게 손해배상 청구나 재산상 가압류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가 증인 신청 명단에 올랐던 것으로 전해진다.
민주당은 칩4(미국 주도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관련 기업의 영향과 피해를 묻겠다는 이유로 증인 신청 명단에 올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증인으로 신청하기도 했다.
과방위 더불어민주당 측은 신세계그룹의 스타벅스 특별감사 착수했고, 정보보안(CISO 업무배제 및 보안 취약점 등) 문제와 관련해 정 부회장이 직접 국감장에 나와 해명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증인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산업통상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에서는 여야 모두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포항제철소 재해 대책 보고가 있었는데도 최 회장 등 경영진이 묵살했는지 책임 소재를 따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이들 총수들이 국감에 출연할 지는 미지수다. 증인 신청 단계일 뿐이고, 국회 정무위원회가 오는 26일 여야 간 협상을 거쳐 27일 전체회의에서 일반 증인을 확정해야 한다.
여야 협의 과정을 통해 대기업 총수들이 증인 명단에서 제외될 가능성도 있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기업인 소환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재계에서는 이번 국감 역시 대기업 총수 흠집내기식 격론의 장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여야 모두 실질적인 '감사'보다는 보복성 맞불 증인 신청으로 혈안이 된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국감에 벌써 기업인만 약 100명을 신청했다"며 "이번 국감도 기업인 흠집내기나 망신주기 장이 될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