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다만 흑자 규모는 지난해보다 축소했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6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6월 경상수지는 56억1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6월보다 32억2000만 달러 줄어든 수치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지난 2020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흑자를 유지했으나 4월 수입 급증 등으로 적자를 기록한 뒤 지난 5월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흑자는 247억8000만 달러로 한국은행이 지난 5월 예상한 219억 달러를 넘겼다.

상품수지 흑자규모는 전년 동월 75억5000만 달러에서 35억9000만 달러로 줄어들었다. 다만 본원소득수지 흑자규모는 같은 기간 25억6000만 달러에서 27억7000만 달러로 늘었다.

서비스수지 적자규모는 운송수지 호조에 힘입어 지난해 6월 10억2000만 달러에서 올해 4억9000만 달러로 감소했다. 이전소득수지는 2억6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수출의 경우 반도체,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올해 6월 576억3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5.2% 증가한 수치다.

수입은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 수입이 각각 28,9%, 13.7%, 3.5% 늘어나면서 전년 6월보다 19.4% 증가한 602억 달러를 기록했다.

원자재에서는 석탄과 원유 수입규모가 각각 189%, 53.1% 증가했으며 석유제품과 가스는 각각 27.7%, 27.4% 증가폭을 보였다.

금융계정의 경우 순자산이 40억6000만 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9억1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8억3000만 달러 증가했다.

반면 증권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23억 달러, 외국인 국내투자는 14억5000만 달러가 감소했다.

또한 파생금융상품과 자산이 각각 16억3000만 달러, 20억9000만 달러 증가해 상반기 227억6000만 달러의 순자산 증가를 기록했다.

부채는 20억9000만 달러 늘었으며 준비자산인 58억 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