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체크카드 이용 건수 및 금액. 사진=KB국민카드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체크카드 이용 건수 및 금액. 사진=KB국민카드

최근 4년간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체크카드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간편결제 이용액이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별로 이용이 많은 업종도 달랐다. 중고등 여학생은 마라탕, 남학생은 햄버거를 선호했다.

KB국민카드는 19일 학생증 체크카드 발급 회원 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4년간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매출 데이터를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음식점, 편의점, 전자상거래 업종에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음식점 이용 시 배달 주문 비중이 높았고 오프라인 음식점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선호하는 음식업종에 차이가 있었다.

먼저 체크카드 이용건수 및 이용금액을 보면 중고등학생은 체크카드를 매월 12 ~ 15건 이용했고 월평균 이용금액은 2019년 상반기 8만8000원에서 2022년 상반기에는 11만6000원으로 31% 증가했다.

대학생은 매월 20~25건 체크카드를 이용하며 코로나19 기간인 2020년 및 2021년 상반기 체크카드 월 이용금액은 2019년 상반기 대비 각각 5%, 4% 감소했다.

이후 2022년 상반기 10% 증가로 전환해, 대학생이 중고등학생 대비 체크카드 이용에 코로나19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간편결제 이용건수 및 금액 비중. 사진=KB국민카드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간편결제 이용건수 및 금액 비중. 사진=KB국민카드

간편결제 이용건수 및 이용금액을 보면 2022년 상반기 간편결제 이용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생은 65%, 대학생은 73%로 2019년 이후 간편결제 이용을 경험한 학생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2022년 상반기 간편결제 이용금액 비중은 34%로 같으며 2019년 이후 간편결제 이용금액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주요업종의 이용건수 및 이용금액 비중을 보면 중고등학생 체크카드 이용금액이 높은 업종은 음식점(30%), 전자상거래(24%), 편의점(8%) 순으로 이용금액의 62%, 대학생은 음식점(29%), 전자상거래(21%), 대중교통·택시(9%) 업종이 59%를 차지했다.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체크카드 이용 주요 업종. 사진=KB국민카드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체크카드 이용 주요 업종. 사진=KB국민카드

중고등학생의 체크카드 이용건수가 높은 업종은 음식점(26%), 편의점(20%), 전자상거래(17%) 순으로 이용건수의 63%를 차지했고 대학생은 음식점(24%), 편의점(17%), 전자상거래(12%) 업종이 53%를 차지했다.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주 이용업종은 음식점(배달포함), 편의점, 전자상거래 업종이며, 대중교통·택시 이용 비중은 대학생이 12%로 5%를 기록한 중고등학생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음식점 이용 금액 상위 10업종. 사진=KB국민카드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음식점 이용 금액 상위 10업종. 사진=KB국민카드

음식점 이용금액 상위 10개를 보면 배달·야식전문점 이용금액 비중이 중고등학생 남학생 14%, 여학생 13%, 대학생 남학생 11%, 여학생 14%로 높게 나타났다.

오프라인 음식점을 보면 중고등학생 중 남학생은 ▲햄버거전문점, ▲커피전문점, ▲한식·백반집, ▲치킨전문점, ▲중국음식점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반면 여학생은 ▲ 커피전문점, ▲마라·샹궈·훠거전문점, ▲떡볶이전문점, ▲제과점, ▲햄버거전문점 순으로 이용 비중이 높았다.

여자 대학생 역시 ▲마라·샹궈·훠거전문점이 상위 10위에 포함됐다. 이 외에는 ▲커피전문점, ▲한식·백반집, ▲호프·맥주집, ▲제과점, ▲양식전문점 순으로 이용금액 비중이 높았고, 

남자 대학생은 배달·야식을 제외하면 ▲한식·백반집, ▲커피전문점, ▲호프·맥주집, ▲햄버거전문점, ▲치킨전문점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이 주로 발급 받은 1위 체크카드는‘KB국민 nori 체크카드’로 나타났다.

해당 카드는 Z세대의 소비 트렌드에 맞춰 8개 Youth 고객 선호 생활영역(대중교통, 이동통신요금, 편의점, 외식, 영화, 서적, 놀이공원, 커피) 이용금액 할인 서비스와 금융수수료 면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B국민카드 데이터전략그룹 관계자는 “디지털 네이티브인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체크카드 이용성향과 소비 패턴을 통해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에도 금융의 시작을 체크카드로 시작하는 Z세대를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분석 작업을 꾸준히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