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증권은 16일 해외주식 DLC 상품 거래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DLC(Daily Leveraged Certificates)는 기초자산의 일일 변동폭을 추종하는 상품으로 기초자산은 텐센트, 알리바바 등과 같은 중국 위주의 기업과 HSI, S&P500 등 주가지수로 이뤄져 있으며 최대 7배의 레버리지 상품이 상장돼 있다.
현재 DLC는 싱가포르 거래소에 약 260여개 상장돼 거래 중이다.
DLC는 국내외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레버리지 ETN과 유사한 구조이지만 차이점이 있다.
레버리지가 최대 7배까지 확대된 만큼 ‘에어백 매커니즘’이라는 안전장치가 있다. 이는 기초자산이 급격할 경우 이를 진정,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장치다. 국내 주식시장의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와 같은 비슷한 개념을 개별 종목에 적용한 것이다.
에어백이 발동되면 30분 동안 DLC 매매가 중단돼, 이후 재조정된 가격으로 거래가 재개돼 빠른 시간에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위험을 줄여주는 제도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다양한 레버리지의 양방향(Long, Short) 상품이 모두 상장되어 있는 DLC가 새로운 투자 기회와 더불어 숏 포지션을 이용한 헤지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상장 종목의 기초자산이 중국, 홍콩에 집중된 만큼 기존에 중국 투자에 관심이 있었던 투자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레버리지의 규모를 고려하여 이번 DLC 매매는 전문투자자에 한해 허용된다.
한편 미래에셋증권은 미국시장 개별주식의 호가와 잔량을 20호가로 확대해 전 고객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이는 미국 현지에서도 피델리티, 모건스탠리, 찰스슈왑과 같은 탑티어 증권사들만이 제공하는 ‘토탈뷰 서비스’로 나스닥과 협업을 통해 국내에 투자자들에게 선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