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은행들의 점포 실험이 한창이다. 특히 경쟁 은행과 손을 잡고 공동점포를 개설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4월 중순부터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공동점포를 운영한다.
공동점포는 각 은행마다 상주 직원 2명, 청원경찰 1명, ATM 2대씩 배치해 동일한 업무를 처리하게 된다.
은행 입장에선 공동점포를 운영할 경우 임대료를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지점 폐쇄로 인한 금융소비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어 금융당국의 눈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공동점포가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일단 공동점포의 대고객 금융서비스가 일부 제한된다. 사실상 수신업무만 취급돼 대출이 필요한 고객은 해당 지점을 이용할 수 있다.
사실상 키오스크가 설치된 무인점포보다 업무 취급 비중이 적어 고객 입장에선 입출금 서비스만 이용할 확률이 높다.
금융사고에 취약한 것도 문제다. 공동점포는 관리 지점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이 출금할 것을 대비해 근처 거점지점에서 매일 현금을 수급해야 한다. 마감 후에는 다시 현금을 예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해 금융사고에 노출돼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공동점포는 각 은행의 이익보다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금융 편의성 제공이라는 공익 목적이 강하다”며 “효율성을 따진다면 무인점포가, 소외계층 제고를 위해선 편의점 제휴 은행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무인점포가 대안으로 완벽하진 않다. 신한은행은 올해 2월 노원구 월계동지점을 폐쇄하고 ‘디지털 라운지’로 전환하려다 주민 반발에 부딪혔다.
해당 점포는 60대 이상 고령층 고객이 많아 디지털 창구가 무의미하단 불만이 높았다. 결국 신한은행은 영업점과 무인점포가 결합한 형태로 ‘디지털 라운지’를 운영 중이다.
디지털 라운지에는 고령층 고객이 어려워하는 디지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는 직원이 따로 배치돼 있다.
사실 고객 입장에선 대출과 같은 복잡한 업무를 처리할 때 대면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직장인의 경우 퇴근 후 은행 업무를 볼 수 없다 보니 점점 모바일뱅킹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국민은행이 기존 영업시간의 틀을 깨고 ‘9to6 뱅크’을 운영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자체 고객만족도 평가 결과 고객들은 은행 영업시간이 늘어난 것을 반겼다.
오히려 영업점 오후 4시 종료에 대한 불편함이 많다고 토로할 정도였다.
그러나 은행 영업시간 확대는 노사 간 합의가 필요한 문제다. 영업시간이 늘어난 만큼 노동 강도가 높아진다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노동권에서도 은행 점포폐쇄와 관련해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단 의견이다.
한국노동연구원 박명준 선임연구위원은 “기존에 관성적으로 대응하며 ‘어쩔 수 없다’는 식의 태도가 아니라 일자리를 가꾸고 지켜내는 전략을 택할 필요가 있다”며 “그래야 디지털화와 고령화의 도전 앞에서 무기력하고 관성적인 노조 운동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노동체제의 실질적인 디자이너로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이 조사한 ‘2021년 국내 은행 점포 운영현황’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6094개로 1년 전보다 311곳 감소했다.
신설 점포는 20곳에 불과했지만 폐쇄된 점포가 331곳에 달한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매년 은행 지점 수는 300곳 이상 사라지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광역시에 소재한 점포가 1년 새 244곳 감소했으며 비수도권은 67곳 줄었다.
- 국민은행, 코트라 손잡고 중소기업 탄소중립 지원
- 칸서스자산운용, KDB생명 매각금지 가처분 기각
- ‘유령 주식’으로 배불린 삼성증권 직원, 대법도 철퇴
- JT저축은행, 최성욱 대표이사 7번째 연임 결정
- 한화토탈, '한화토탈에너지스'로 사명 변경
- 삼성자산운용, 美 ETF운용사 '앰플리파이'에 지분 20% 투자
- 대한항공, '2022 ATW 올해의 화물 항공사' 선정
- LG화학, 시흥시 발생 폐자원 재활용나서
- 경기도 용인시 수지도서관 리모델링 후 재개관
- 경기혁신센터 ‘제1회 스타트업 815 IR’ 성료
- 하나은행, 국외 자금세탁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업그레이드
- 국민은행, 채용門 활짝…IT·직무 전문가 200명 뽑는다
- 은행권에 부는 효율화 바람…저축은행도 점포 줄였다
- 내주 거리두기 해제 속 은행 영업시간도 정상화 초읽기
- 우리은행, ATM 금융사고 제로 도전…현금 감시 모니터링 가동
- 신한은행도 저녁까지 지점 불 밝힌다…이브닝플러스 서비스 도입
- 국감 참석한 5대 은행장…금융사고·채용비리 등 도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