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상호금융권의 지역 공동체 신뢰 회복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들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특히 소비자 보호 강화와 내부통제 체계 구축, 부실채권 신속 정리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찬진 원장은 19일 서울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상호금융 중앙회장단과 첫 만남을 가졌다. 이 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상호금융 이용자들은 경제적 협력자인 조합원들로 출자자이자 예금자, 대출자라는 구조"라며 "소비자 보호는 실질적으로 조합원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상호금융 존재 이유"라고 강조했다.
또 상호금융권이 소비자보호법 적용을 받지 않는 한계를 지적하며 "법상 주요 소비자 권리와 관련된 부분들을 자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와 함께 지역 조합원들을 위한 정책자금 대출과 적시성 있는 지원을 강조하면서 원장은 "요즘 같은 때에는 상생금융과 관련해 적극적으로 배려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내부통제 체계 구축을 위해 중앙회 차원의 표준화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 원장은 "지역 조합 차원에서는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애로사항이 많아 중앙회 차원에서 표준화해서 공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일선 조합의 횡령, 부당대출 등으로 인한 금융신뢰 위험을 지적하며 "단위 조합은 직원 수도 적고 내부 견제 장치도 어려움이 있어 중앙회 차원에서 챙겨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금감원도 여신업무 내부통제 개선방안을 준비해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상호금융권의 관계금융 특성을 강조하며 "조합 직원들이 공동체 구성원들과 상시 소통하고 경제적 상황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대형 금융사들이 범접하기 어려운 장점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장기적으로는 모바일 플랫폼 개선, 신용평가 시스템 고도화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하지만 "지역 조합이 챙기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중앙회 차원에서 챙겨야 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무엇보다 이 원장은 부동산 개발사업 대출과 관련된 부실 확대를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이 원장은 "연체율 상승과 수익성 악화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연결고리를 끊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하반기 중 부실을 신속하게 정리해 내년부터는 새 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부실 회복을 촉구했다.
이어 건전성 관리에 관해서는 "조합원들이 서로 믿고 거래를 지속하기 위한 가장 본질적인 부분"이라며 중앙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당부했다.
- 대통령까지 꼬집은 '새마을금고 감독 부실'…금융위 이관 현실화되나
- 이찬진 금감원장 "ELS 불완전판매, 더 이상 없어야…소비자 보호 대원칙"
- 노동진 수협 회장 "복합점포 조합, 성장 모델로 육성"
- 농협중앙회, 새 정부에서 구조 개혁할까…농협법·양곡법 향방은
- '반복 사고' 상호금융…이찬진 원장 "중앙회장이 챙겨야"
- 농협중앙회, 제6차 범농협 비상경영대책위원회…"계열사 사업계획 차질 없이 추진하라"
- 정무위, 신협·새마을금고 국감 불렀다…내부통제·건전성 검증
- 이찬진 금감원장 "소비자 보호 중심 공정 금융 확립하겠다"
- 국감서 신협 내부통제 정면 비판…임기 넉 달 남긴 김윤식 회장 '골머리'
- 상호금융도 내년 1월 중도상환수수료 내린다
- 이찬진 금감원장 "보험사 부당한 보험금 부지급, 무관용 원칙 적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