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팡이 러시아를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 제조·수출된 상품에 판매 제한을 시행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모회사 쿠팡Inc의 규제 준수 정책에 따라 대외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쿠팡은 최근 판매자 공지를 통해 "쿠팡의 통상 및 제재 관련 규제 준수 정책에 따라 특정 국가산 상품은 판매가 금지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고 안내했다. 대상 국가는 러시아, 이란, 시리아, 쿠바, 북한,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크림반도·도네츠크·루한스크) 등이다.
이 가운데 이란, 시리아, 쿠바, 북한, 우크라이나 동부 분리주의 지역과 크림반도에서 제조·수출된 상품은 판매가 전면 금지된다. 러시아, 베네수엘라, 수단, 버마 등은 내부 규정 준수 부서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소싱 및 판매가 가능하다.
이번 조치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과 산업안보국(BIS)의 제재 리스트를 반영한 쿠팡 내부 정책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쿠팡Inc가 글로벌 수준의 제재 규정 준수를 요구받는 기업인만큼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 쿠팡, 알럭스로 명품 중고거래 카테고리 시범 운영
- 용인 쿠팡 물류센터서 50대 노동자 숨져...경찰, 경위 조사
- 쿠팡, 다음달 15일부터 '불법 판매자' 대금 최대 180일 보류
- 쿠팡 로켓그로스, 중소기업 활성화 기여..."업체 70% 비수도권"
- 쿠팡, 2분기 영업이익 2093억원 '흑자전환'...매출도 역대 최대
- "클릭 안했는데 쿠팡 연결"...방통위, 사실조사 착수
- 쿠팡, PB 물티슈 변색에 자발적 리콜..."전액 환불"
- 쿠팡, '주방용품 추석 세일 페스타' 진행...최대 50% 할인
- 쿠팡, 750억원 투자해 '제2 쿠팡' 육성한다
- 쿠팡, '로켓그로스 판매자 써밋 2025' 개최
- 쿠팡, '와우카드' 200만장 돌파 기념 최대 20만원 혜택 프로모션
- 쿠팡, 호환용 상품 등록 가이드라인 강화...위반 시 판매 중단 가능
- 국정감사 산자위, 쿠팡·신세계·무신사·다이소 대표 출석 요구
- 소비자단체 "홈쇼핑·이커머스 추석 선물 위장 할인 꼼수"
- 정무위, 국감 증인에 홈플러스·쿠팡·배민 부른다
- 쿠팡, 칼 빼드나…'납치광고' 파트너사 형사 고소
- 쿠팡, 3분기 매출 12.8조 '사상 최대'...영업이익도 51% 증가
- 쿠팡 새벽배송 규제에 왜 반대 목소리 클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