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ChatGPT.
사진=ChatGPT.

최근 증권사 전산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국회 정무위원회도 이를 주목하는 분위기다. 금융당국 경고에도 사고가 반복되자 증권사들의 책임론뿐만 아니라 국정감사 소환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증권업계 전산사고 관련 자료를 전달 받았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 증권사 37곳에서 발생한 전자금융 사고는 총 487건이었고 피해액은 267억원으로 집계됐다. 

사고 건수는 NH투자증권이 43건으로 가장 많았다. 토스증권이 42건, 카카오페이증권·신한투자증권이 각각 39건, 삼성증권·키움증권이 각각 31건을 기록하면서 뒤를 이었다. 피해액 기준으로는 한국투자증권이 65억5472만원으로 가장 컸으며 키움증권이 60억8105만원, 미래에셋증권이 41억672만원으로 알려졌다.

단일 사고 최대 피해액은 지난 2020년 키움증권의 프로그램 오류로 발생한 47억668만원이었다. 당시 주가 급락으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장애가 일어나 거래가 중단됐다. 이외에도 2021년 미래에셋증권 HTS·MTS 접속 장애가 39억1928만원, 2022년 한국투자증권 시스템 중단이 25억2630만원의 피해액을 냈다.

사고 원인은 프로그램 오류가 188건으로 38.6%를 차지했다. 신한투자증권에서 프로그램 오류 사고 18건이 발생하면서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키움증권은 사고 건수는 9건이지만 피해액은 47억8500만원으로 가장 컸다.

끊이지 않는 전산 사고에 금감원은 지난달 증권사 IT·정보보안 리스크를 정기·수시 점검하고 유사사고 재발 방지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인허가 취소까지 언급됐지만 투자자들의 우려는 잦아들지 않는 분위기다. 증권사들이 전산 정비와 IT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단행하고 있음에도 최근까지 지연·오류 사례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정부가 이번 국정감사에서 증권사들의 전산 장애를 살펴볼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내 증시 부양 의지를 확실하게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부임하면서 이를 단순 오류가 아닌 금융소비자 보호 차원으로도 바라볼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올해만 해도 굵직한 증권사들에서 전산 장애가 자주 발생하면서 그냥 넘어가지만은 않을 것으로 본다"며 "단일 증권사도 아니고 여러 회사에서 오류가 일어나면서 주식 시장 전체의 신뢰 문제로 번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