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가운데)과 데이비드 한화필리조선소 CEO. 사진=한화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가운데)과 데이비드 한화필리조선소 CEO. 사진=한화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과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이 7월30일(현지시각)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화필리조선소를 방문했다.

러셀 보트 국장은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에도 예산관리국장을 지낸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미국 정부 조선업 재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백악관 예산관리국은 대통령의 예산안 수립 및 집행과 행정부의 입법 제안, 정책의 우선순위 조정을 담당하는 핵심 부서다.

두 사람의 방문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포함한 관세협상 타결을 공식 발표했다. 미 정부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러셀 보트 국장과 존 펠란 장관의 필리조선소 현장 방문 결과를 보고 받고 관세협상 타결을 최종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날 이들은 김동관 한화 부회장, 데이비드 김 필리조선소 대표의 안내로 생산 현장을 둘러보며 한미 조선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동관 부회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보유한 한화가 필리조선소를 교두보로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 조선 인력 양성, 조선 관련 공급망 재구축,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등을 주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또 중장기 사업전략과 투자 계획 등을 설명하며 미국 정부의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펠란 장관과 보트 국장은 트레이닝 아카데미에서 훈련생과 만나 현장 의견을 청취했으며,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도입한 자동용접 설비도 둘러봤다. 보트 국장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한화가 필리조선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투자와 활동들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있으며, 현지에서 오랜 기간 함께 근무해온 직원들과 좋은 파트너십을 만들어 가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펠란 장관은 "조선해양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것은 트럼프 정부와 미 해군성의 최우선 순위다"라며 "3개월 전 한국의 한화(오션) 조선소를 방문했는데, 그곳에서 현대화 되어 있는 현장을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곳 필리조선소에서 어떤 투자가 이뤄지고, 조선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지 직접 보는 것이 중요했다"라고 덧붙였다.

펠란 장관은 지난 4월 거제사업장을 찾아 김 부회장의 안내로 상선 및 잠수함 건조 현장을 시찰하고, MRO 중인 미 해군 7함대 유콘함도 점검했다. 미 해군 최고위급 인사가 3개월 내 한화의 한미 양국 조선소를 모두 방문한 것이다.

당시 김 부회장은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의 전략적 수요에 맞춰 어떤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조 체계를 완비하고 있으며, 미국 내 여러 조선소를 확보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며, 한·미 조선업 협력에서 한화오션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한화는 지난해 말 미국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 인수 후 설비 투자, 현지 일자리 창출, 기술 이전 등 전방위적 개편에 나서고 있다. 한국식 생산관리 기법과 공정 최적화 시스템을 적용해 현재 연간 1~1.5척인 건조 능력을 2035년까지 10배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필리조선소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조선업 강화 방침 속에서 미 정부 관계자들의 방문이 이어지며 미국 내 주목받는 조선소로 떠오르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