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BNK금융
사진=BNK금융

BNK금융그룹이 하반기 전략 방향으로 ‘지역상생’, ‘디지털금융 고도화’, ‘내실경영’을 제시했다. 지역 균형발전과 정부 정책에 부응하며, 해양금융 전문 그룹으로의 역할 강화도 함께 추진한다.

BNK금융그룹은 7일 본사 대회의실에서 '2025년 하반기 업무보고회'를 개최하고 하반기 경영 전략을 ‘지역상생 및 금융소비자보호’, ‘AI 및 디지털금융 고도화’, ‘건전성 중심 내실경영’ 등 3대 방향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BNK는 지역 균형발전과 민생경제 회복이라는 새 정부 정책 기조에 맞춰, 지역경제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다. 지난달 출범한 ‘지역경제 희망센터’를 중심으로 소상공인을 위한 채무조정, 만기연장 등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경영개선 컨설팅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한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과 금융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소비자보호도 고도화된다. 금융상품 설명 의무를 강화하고 소비자 중심의 내부통제 체계를 고도화해 신뢰 기반의 금융 환경을 조성한다.

디지털금융 부문에서는 AI 거버넌스 체계를 새롭게 수립하고 지역화폐 전환과 원화 스테이블코인 연구 등 미래형 금융 실험을 본격화한다. 디지털·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 서비스를 통해 금융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동시 추구한다는 전략이다.

내실경영 측면에서는 선제적 부실 자산 관리와 자산건전성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 우량자산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편과 고객관리 역량 제고를 통해 질적 성장을 꾀하고 위기 대응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업무보고회 이후에는 계열사 대표와 그룹 경영진이 참석한 포럼이 열렸다. 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가 ‘해양도시와 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특별 강연을 진행했다. 김 교수는 동북아 물류 허브인 부산항의 전략적 가치와 함께, 이에 대응하는 금융기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BNK는 해양금융 모델 강화에도 시동을 걸었다. 조선·해양기업 대상 금융지원 확대, 보증 연계 서비스, 투자·컨설팅 융합형 금융상품 등 해양 산업에 특화된 금융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으며 정부의 해양산업 육성 정책과 연계해 실행할 방침이다.

BNK금융지주 관계자는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도 실행력 있는 전략을 통해 지역과 고객 중심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겠다”며 “정부 정책과 지역 특성에 부응하는 실질적 지원과 금융 혁신을 계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키워드
#BNK금융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