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전경. 사진=뉴스저널리즘
금감원 전경. 사진=뉴스저널리즘

지난해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56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지역 비중이 압도적인 가운데 오피스를 중심으로 손실 확대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2000억원 증가했다. 전체 금융권 총자산 7234조1000억원 대비 0.8% 수준이다. 데이터센터 중심의 산업시설 선순위 대출이 확대된 결과로 분석된다.

업권별로는 보험사가 30조1000억원으로 전체의 53.8%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이어 은행 12조5000억원(22.3%), 증권 7조6000억원(13.6%), 상호금융 3조7000억원(6.5%), 여신전문금융사 2조원(3.5%),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이다.

지역별로는 북미 비중이 62.5%(35조원)로 압도적이었다. 유럽 10조3000억원(18.4%), 아시아 3조8000억원(6.9%), 오세아니아·남미·복수지역 등을 포함한 기타 지역은 6조8000억원(12.2%)으로 뒤를 이었다.

올해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은 8조3000억원(14.9%)이며 2030년까지 전체의 약 70.9%(39조7000억원)가 만기를 맞는다. 2031년 이후로는 16조3000억원(29.1%)이 만기가 도래한다.

자산건전성 측면에서는 34조1000억원의 단일 사업장 투자 중 2조5900억원(7.59%)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주로 복합시설(38.88%)과 오피스(3.70%)에서 집중됐다. 전분기 대비 EOD 발생 규모는 소폭 감소했으나 오피스를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해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코로나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고금리 등 자금조달 환경의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오피스의 공실률이 20.4%에 달하는 등 수익성 개선이 지연되고 있어 리스크 요인이 된다.

다만 전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투자 규모가 총자산 대비 1% 미만 수준이고 업권별로도 자본비율이 양호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58%,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은 206.7%, 증권사의 순자본비율은 801.8%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오피스를 중심으로 한 손실인식의 적정성과 감정평가의 최신화를 점검하는 등 맞춤형 감독을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해외 대체투자에 대한 업권별 리스크관리 기준을 오는 3분기까지 순차적으로 개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