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의 음식료품 물가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식품 물가 상승률도 약 25%에 달해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을 크게 웃돌았다. 정부는 국민 체감도가 높은 생활물가 안정을 위한 종합 대책 마련에 나섰다.

15일 OECD의 구매력 평가(PPP, Purchasing Power Parity)를 반영한 2023년 물가 수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가격지수는 147로, OECD 평균(100)보다 47%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OECD 38개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1위는 물가가 높은 국가로 알려진 스위스(163)다.

PPP 기준 물가지수는 각국의 경제 규모와 환율 차이를 보정해 실제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다. 이에 따르면 미국(94), 영국(89), 독일(107), 일본(126) 등 주요 선진국들도 한국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은 의복·신발 물가(137)와 교육 물가(110) 역시 OECD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반면 교통, 문화·여가, 외식, 주거 등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여, 전반적인 소비자물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편이나 먹거리와 의류 등 기본 생필품의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는 116.03으로, 2020년(기준점 100) 대비 누적 16% 상승한 수치다. 같은 기간 생활물가지수는 119.09, 식품 물가지수는 125.04로 집계돼 이른바 ‘헤드라인 물가’보다 국민 체감도가 높은 생활·식품 물가가 더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도 이 같은 물가 흐름에 주목하고 대응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 회의에서 "라면이 진짜 2,000원이냐"며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를 공개적으로 언급했고, "국민들이 느끼는 고통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장관 직무대행)도 "수년간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특히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승세를 이어가며 서민과 중산층의 부담이 크다"며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범부처 물가 안정 대책을 마련 중이다. 특히 최근 가격이 급등한 계란, 가공식품 등 '먹거리 물가' 안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농축수산물 유통 채널별 할인 확대, 정부 비축 물량 조기 방출, 산지 공급량 실시간 모니터링 등 다각적인 대응이 검토되고 있다.

라면 등 가공식품에 대해서는 유통·생산 과정에서 불공정 행위 여부를 점검할 방침이다. 한국소비자원 및 소비자단체와 협력해 가공식품 원가 분석 및 가격 정보 공개도 추진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