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에 진열된 달걀. 사진=연합뉴스
대형마트에 진열된 달걀. 사진=연합뉴스

계란값이 4년 만에 7000원을 넘어섰다. 대형마트들은 가격 인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공급 안정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모색 중이다.

22일 유통업계와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특란 한 판(30개) 소비자 평균 가격은 7026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1년 7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가격이 급등한 이후 처음으로 7000원을 넘긴 수치다.

홈플러스는 특란 한 판 가격을 2년 전부터 유지해온 7990원으로 동결하며 8000원 돌파를 저지하고 있다. 이마트는 지난해 6월 7580원이던 특란 한 판을 현재 7980원으로 5.3% 인상했고 롯데마트는 대란 한 판을 7990원에 판매하고 있다. 인상률은 각각 6.7% 수준이다. 실제 납품가 상승률인 10% 이상을 밑돈다.

대형마트들은 현재 계란 수급은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판매용 물량은 작년 대비 80~90% 수준이고 구매 제한 조치는 계획하고 있지 않다. 다만 판매 촉진을 위한 행사는 자제하는 분위기다. 

농식품부는 여름철 소비 감소와 산란계 사육 기간 연장을 통해 가격이 점차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마트들도 병아리 입식 확대에 따른 물량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오는 9월부터 산란계 사육 면적 기준이 0.05㎡에서 0.075㎡로 확대됨에 따라 중장기적으로는 시세 상승 가능성도 제기된다. 노계 정리와 입식 지연으로 산란률 저하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 간 ‘눈치 싸움’도 예상된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