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을 앞세워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3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 매출은 270억1000만달러(약 37조원)로 직전 분기 대비 5.5% 감소했다. 이는 D램 계약 가격 하락과 HBM 출하량 축소가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는 출하량 감소로 매출이 97억2000만달러로 7.1% 줄었지만,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3E 출하 증가에 힘입어 분기 기준 D램 시장 1위에 올랐다.

SK하이닉스 점유율은 작년 4분기 36.6%에서 36%로 소폭 하락했으나, 삼성전자가 같은 기간 39.3%에서 33.7%로 큰 폭 하락하면서 순위가 뒤바뀌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앞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회사 점유율은 작년 1분기에는 삼성전자 43.9%, SK하이닉스 31.1%로 10%p 이상 차이 났다.

앞서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집계한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에서도 올해 1분기에 SK하이닉스 36%, 삼성전자 34%로 SK하이닉스가 앞섰다.

삼성전자는 HBM 제품의 중국 직접 판매 제한과 고가 제품인 HBM3E 출하량 감소 여파로 전 분기보다 19.1% 줄어든 91억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2위로 내려갔다.

3위는 미국 마이크론으로, 65억8000만달러 매출과 24.3% 점유율을 기록했다.

트렌드포스는 "2분기에는 PC 및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90일간의 미국 상호관세 유예기간에 맞춰 재고 정리를 마치고 생산량을 확대하면서 D램 공급업체들의 출하량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