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을 앞세워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3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 매출은 270억1000만달러(약 37조원)로 직전 분기 대비 5.5% 감소했다. 이는 D램 계약 가격 하락과 HBM 출하량 축소가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는 출하량 감소로 매출이 97억2000만달러로 7.1% 줄었지만,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3E 출하 증가에 힘입어 분기 기준 D램 시장 1위에 올랐다.
SK하이닉스 점유율은 작년 4분기 36.6%에서 36%로 소폭 하락했으나, 삼성전자가 같은 기간 39.3%에서 33.7%로 큰 폭 하락하면서 순위가 뒤바뀌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앞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회사 점유율은 작년 1분기에는 삼성전자 43.9%, SK하이닉스 31.1%로 10%p 이상 차이 났다.
앞서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집계한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에서도 올해 1분기에 SK하이닉스 36%, 삼성전자 34%로 SK하이닉스가 앞섰다.
삼성전자는 HBM 제품의 중국 직접 판매 제한과 고가 제품인 HBM3E 출하량 감소 여파로 전 분기보다 19.1% 줄어든 91억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2위로 내려갔다.
3위는 미국 마이크론으로, 65억8000만달러 매출과 24.3% 점유율을 기록했다.
트렌드포스는 "2분기에는 PC 및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90일간의 미국 상호관세 유예기간에 맞춰 재고 정리를 마치고 생산량을 확대하면서 D램 공급업체들의 출하량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 SK하이닉스, 美 산타클라라서 'SK 글로벌 포럼' 개최… AI 메모리 인재 확보 박차
- 한화세미텍, SK하이닉스 인근에 기술센터 개소… TC본더 본격 가동
- 삼성전자 "메모리 실적 2분기부터 회복… 관세 변수는 여전"
-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6조7000억원… 전년比 1.2%↑
- SK하이닉스, 'TSMC 기술 심포지엄' 참가… HBM4 선봬
- SK하이닉스, 관세 변수에도 "이상 無"… '매출 2배 성장' 목표 재확인
- SK하이닉스, 비수기 뚫고 1Q 영업익 7조 돌파… HBM 경쟁력 입증
- 이재명 정부 출범…삼성·SK, 반도체 공약 '촉각'
-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관세 등 불확실성 확대… HBM은 경쟁력 있어"
- 마이크론, HBM4 샘플 공급… SK하이닉스와 양산 경쟁 본격화
- HBM4 경쟁 본격화… 삼성전자, 반전 여지 남았나
- SK하이닉스, 美 'HPED' 참가…'48GB HBM4 16단' 등 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