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다국어·특화 매장으로 외국인 고객 경험 혁신. 사진=LG유플러스
LG U+, 다국어·특화 매장으로 외국인 고객 경험 혁신.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국내 거주 외국인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고객 경험 혁신에 나섰다고 22일 밝혔다. 회사는 첫 단계로 국내 통신사 중 최대 규모인 17개 언어로 가입 관련 서류를 제작해 배포하고, 전국 주요 거점에 외국인 전용 특화 매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법무부 출입국 통계에 따르면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2020년 203만여 명에서 2024년 265만여 명으로 23% 증가했으며, 이 중 장기 체류 외국인은 161만여 명에서 204만여 명으로 26% 늘었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증가 흐름에 발맞춰 외국인 고객이 통신 서비스 가입 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가입 서류와 이용 약관 등 주요 문서를 다양한 언어로 제작했다. 제공 언어는 한국어를 포함해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러시아어, 태국어, 미얀마어, 몽골어, 우즈베키스탄어, 라오스어 등 총 17개다.

기존에는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4개 언어만 제공했으나 이번 언어 확장을 통해 4배 이상 다양화됐다. 17개 언어 지원은 국내 통신사 최대 규모다.

LG유플러스 매장을 방문한 외국인 고객은 자신에게 익숙한 언어로 가입 약관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국인 고객은 통신 서비스 가입이 간편해지고, 자신이 가입한 요금제나 서비스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외국인 고객을 위한 특화 매장도 전국적으로 확대된다. LG유플러스는 전국 67개 매장을 외국인 고객 맞춤형 특화 매장으로 순차 개편한다. 이들 매장에는 내부와 외부에 외국어 안내물과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각 지역의 외국인 거주 비율과 언어 사용률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외국인 방문 비중이 높은 17개 매장은 '글로벌 텔레콤센터'로 개편돼 외국인 전문 상담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응대를 위한 전문 인력도 확대됐다. LG유플러스는 중국·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 출신 상담 직원을 170여명으로 늘렸다. 상담 전문 인력은 외국인 특화 매장에서 근무하며 매장을 방문한 외국인 고객을 응대하고, 서비스 이용 불편을 해소하는 역할을 맡는다.

박준수 LG유플러스 디바이스·외국인사업담당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이들의 통신 서비스 이용 불편을 해소하고자 편의 기능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외국인 고객이 보다 편리하게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고객 응대 인프라와 서비스를 개선해 고객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차별적인 고객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