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서울 중구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열린 연극 '헤다 가블러' 기자간담회에서 이혜영 배우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양찬혁 기자
지난 19일 서울 중구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열린 연극 '헤다 가블러' 기자간담회에서 이혜영 배우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양찬혁 기자

"'헤다'는 애정 없는 결혼을 했고 만족하지 못했지만, 결혼이라는 제도를 받아들인 걸 보면 그녀는 살고자 하는 욕망이 있었던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19일 서울 중구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열린 연극 '헤다 가블러' 기자간담회에서 이혜영 배우는 '헤다'를 이렇게 말하며, 13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 '헤다 가블러'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이혜영은 "박정희 연출가와 함께한 13년 전 초연에 혹시 부족한 점이 있었다면, 그것을 완성하기 위해 다시 만난 것"이라며 "모든 걸 버리고 헤쳐 모였고, 애를 많이 썼으며,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헤다 가블러'는 '인형의 집', '유령' 등을 쓴 노르웨이 극작가 헨릭 입센의 작품으로, 1890년 발간된 후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꾸준히 공연되는 희곡이다.

국내에서는 2012년 국립극단의 제작으로 초연됐으며, 13년 만에 다시 명동예술극장 무대에 올랐다. 초연과 동일하게 박정희 연출과 이혜영 배우가 호흡을 맞췄고, 개막 전부터 화제를 모으며 전 회차 전석 매진을 기록했다.

이혜영은 "어릴 적 처음 배우로 뽑아준 김의경 선생님이 '이혜영 같은 배우가 없었기 때문'에 이전까지 '헤다 가블러'가 상업적인 무대에 오르지 못했다고 하신 말씀이 기억에 남는다"며 "그 말을 믿고 초연 때부터 지금까지 착각으로 공연을 이어오고 있다. 착각을 방해하는 모든 요소는 단 한 가지도 만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박정희 연출은 "이혜영은 연출의 상상력을 뛰어넘는 배우"라며 "대사를 모두 지운 장면에서도 독창적으로 풀어내 감탄했다"고 평가했다.

지난 19일 서울 중구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열린 연극 '헤다 가블러' 기자간담회에서 박정희 연출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양찬혁 기자
지난 19일 서울 중구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열린 연극 '헤다 가블러' 기자간담회에서 박정희 연출가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양찬혁 기자

이번 '헤다 가블러'는 1970년대 중반, 히피 문화가 유행하던 시기로 배경이 옮겨졌다. 박 연출은 자유와 해방을 추구하는 문화적 운동과 기존 질서를 부수는 욕망이 교차하는 시기에서 '헤다 가블러'를 현대적인 시선으로 풀어냈다.

박 연출은 "'뢰브보르그'와 '헤다'가 밤에 무슨 일을 벌였을지에 해석의 초점을 맞추며, 자유와 신세계를 꿈꾸는 젊은 청년들에게 가장 맞는 시대는 언제일까를 생각했다"며 "히피 문화가 유행하던 때에는 자유와 이상향을 꿈꾸고 있다고 생각해 배경을 바꿨다"고 설명했다.

배우진 구성도 새롭게 바뀌었다. '율리아네 테스만' 역에는 고수희 배우가, '엘브스테 부인' 역에는 송인성 배우가, '예르겐 테스만' 역은 김명기 배우가, '에일레르트 뢰브보르그' 역은 김은우 배우가, '베르테' 역은 박은호 배우가 맡았으며, '브라크' 역에는 공연 직전 홍선우 배우가 합류했다.

'브라크' 역의 배우 교체는 개막 직전 발생한 돌발 상황이었다. 윤상화 배우의 건강 문제로 갑작스레 공연 연기가 결정됐고, 홍선우 배우가 긴급 투입돼 이틀 만에 모든 대사를 숙지했다.

박 연출은 "무대에서 마음이 편해야 하기에 동선에 제약을 주지 않았고, 처음부터 브라크를 맡았던 배우 같다는 이야기도 있었다"며 "배우의 집중력과 잠재력에 놀랐다"고 말했다.

이혜영 배우는 "의기양양하게 시작했는데, 공연 전날 충격적인 소식을 듣고 절망했다"며 "우리는 충격이 너무 컸고, 패잔병들처럼 지난 일주일 동안 고통과 죄의식에 힘들었다. 이렇게 공연하고 있다는 게 기적이라고 생각한다"며 눈물을 보였다.

연극 '헤다 가블러' 공연 모습. 사진=국립극단
연극 '헤다 가블러' 공연 모습. 사진=국립극단

이번 공연은 국립극단 'PICK 시리즈'의 첫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기도 하다. 'PICK 시리즈'는 초연 후 관객의 상연 요청이 꾸준히 쇄도한 작품을 다시 무대에 올리는 국립극단의 신규 사업이다.

박 연출은 "'헤다 가블러'를 다시 보고 싶다는 요청이 꾸준히 있었다"며 "이번 요청을 받아들인 점은 국립극단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상징성을 의미하며, 작품성이 있는 작품을 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헤다 가블러'는 여성의 해방과 자유의지, 실존의 갈망이라는 주제를 넘어 시대를 초월한 '한 인간의 이야기'로도 읽힌다.

박 연출은 "'헤다 가블러'는 젠더를 초월한 한 인간의 이야기로 본다"며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그걸 위해 자신을 파괴하면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려는 한 인간의 이야기를 '헤다'로 보고 있다. 그렇게 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공연에서는 '헤다' 주변 인물들의 관계에서 서로 미치는 영향력을 유심히 봐달라"며 "모든 건 연결돼 있고 서로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고 있다. "'헤다'를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선입견은 내려두고, 이혜영 배우가 보여주는 나이를 초월한 무대의 신비를 경험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