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캐즘(일시적수요정체)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차입금이 올해 1분기에도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공장 가동률은 지속 하락하며, 국내 배터리 업계의 보릿고개가 장기화되는 양상이다.
18일 각 사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의 올해 1분기 차입금은 총 49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42조5000억원 대비 7조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배터리 3사는 북미와 유럽을 포함한 해외 공장 증설과 기술 투자 등을 위해 차입을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차입금 증가에 따른 재무 부담 우려가 있지만, 업계는 캐즘 이후 주도권 확보를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입장이다.
기업별 1분기 차입금은 SK온이 20조3907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LG에너지솔루션이 17조6126억원, 삼성SDI가 11조6155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SK온은 작년 말 15조5997억원 대비 4조7910억원 늘어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미국 에너지부의 '첨단기술차량제조'(ATVM) 프로그램에 따른 정부 대여금이 6조3304억원 증가한 반면, 단기 차입금은 2조3925억원 줄였다.
LG에너지솔루션도 같은 기간 차입금이 2조2220억원 증가했다. 1분기 중 원화 회사채 1조6000억원을 발행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삼성SDI의 경우 차입금 증가폭은 377억원으로 가장 적었다. 차입금 대신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나섰기 때문이다. 다만 향후 회사채 발행 가능성은 열려 있다.
삼성SDI는 지난달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2023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캐즘 영향이 지속되고 있으나, 이차전지 투자는 최소 2∼3년 후를 대비한 것"이라며 "계획대로 투자를 이어가 향후 수요 반등 시 더 크게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투자와 별개로 배터리 3사의 가동률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다. LG에너지솔루션의 평균 가동률은 2023년 69.3%에서 지난해 57.8%, 올해 1분기 51.1%로 떨어졌다.
삼성SDI는 소형 전지 가동률이 지난해 58%에서 올해 1분기 32%로 급감했다. 비공개된 중대형 전지 역시 유사한 흐름을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SK온은 지난해와 같은 43.6%의 가동률을 유지했지만, 생산 실적은 1억2149만 셀에서 3181만 셀로 대폭 감소했다.
가동률 하락은 캐즘 장기화로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본격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대외적인 변동성과 수요 불확실성으로 인한 고객사들의 보수적인 재고 운영 및 전기차(EV) 생산 속도 조절 등에 따른 전반적인 수요 감소로 낮은 가동률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2분기에도 미국발 관세 여파로 OEM(완성차 업체)의 보수적 재고 운영 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북미 주요 업체들의 전기차 판매가 견조하고, 원통형 배터리 등 신모델 출시가 이어지고 있어 일부 가동률 회복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변동성이 큰 상황이라 예측은 조심스럽지만, 1분기를 저점으로 2분기부터는 일부 유럽 공장을 중심으로 가동률이 소폭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미국, 상호관세 전면 도입… 기업별 파장은
- 배터리 3사 '연봉킹'은 권영수 LG엔솔 전 부회장… 지난해 71억 수령
- '인터배터리 2025' 개막… 국내 배터리 3사, 혁신 기술로 캐즘 돌파
- 국내 배터리 업계, 북미 시장 과녁 삼을까
- 美국방부, '중국군 지원 기업'에 CATL·텐센트 추가… 국내 배터리·게임 업계 영향 미칠까
- 삼성SDI, 유상증자 우리사주 청약 '완판'… 임직원 참여 몰려
- 삼성SDI, 독일 테스볼트와 ESS용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 LG엔솔, 체리자동차에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공급
- 삼성SDI, '55주년 창립기념식' 개최
- TRS도 PRS도 안 통한다…기업 자금조달 '막다른 골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