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식에 참가한
개막식에 참가한. 사진=장하민 기자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가 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인터배터리 2025'에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극복을 위한 혁신 기술과 전략을 공개했다.

올해로 13회째를 맞이한 인터배터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 등이 주관하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다.

먼저 LG에너지솔루션은 기존 2170(지름 21㎜·길이 70㎜) 원통형 배터리 대비 에너지와 출력을 높인 46 시리즈 배터리를 전격 공개했다.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될 모빌리티 차량과 차세대 전지 등의 다양한 미래 기술을 선보였다.

삼성SDI는 차세대 46파이 원통형 배터리를 공개하며 전기차·산업용 배터리 시장 경쟁력을 강조했다. 현대차·기아와 협업한 로봇 전용 배터리 기술도 처음 선보였다.

이날 최주선 삼성SDI 대표는 인터배터리 개막 전 기자들과 만나는 자리에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고객사를 확보해 샘플을 제출했으며 양산도 곧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K온은 파우치형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와 더불어 SK엔무브와 공동 개발한 전기차용 액침냉각 기술을 선보였다. 아울러 기존의 파우치형 배터리 외에도 각형·원통형 배터리까지 함께 전시하며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박기수 SK온 부사장은 "세계적으로 각형 배터리가 흐름을 타고 있어 뒤늦게라도 개발을 완료했다"라며 "전사 역량을 집중해 고객 수주와 관련한 컨택을 진행하고 있으며, 양산은 고객사 일정에 맞춰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46파이 배터리도 현재 개발을 완료했으며 양산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왼쪽부터) 신영대 국회 기재위 이차전지포럼 공동대표,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구자균 LS일렉트릭 대표, 최주선 삼성 SDI 대표. 사진=장하민 기자
(왼쪽부터) 신영대 국회 기재위 이차전지포럼 공동대표,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구자균 LS일렉트릭 대표, 최주선 삼성 SDI 대표. 사진=장하민 기자

배터리 업황과 전망에 대해 3사 대표들은 업황 반등 시점을 올해 2분기 이후로 예상했으며, 캐즘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는 배터리 업황과 관련해 "1분기나 상반기 정도가 저점이 될 것으로 본다"며 "투자는 효율적인 방향으로 집행하는 기조를 유지하면서 진행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캐즘과 관련해서는 "수요가 줄어들어 있고 여러 변수가 많은 상황"이라며 "시장이 좀 정리되고 수요가 증가할 때를 대비해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도 "캐즘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삼성SDI는 1분기를 저점으로 2분기부터는 점차 회복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라며 "올해는 신중한 투자 기조를 유지하는 한편, 중장기 성장을 위한 자금 확충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