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은 SK텔레콤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강구 중이며 오는 30일 오전 비상대응회의를 소집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소집은 개인정보 유출이 금융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소비자들의 불안이 확산하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해당 사건 이후 금융사기 위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늘어났다.
실제로 해킹사고 후 일주일간(22~28일)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신청이 약 35만건, 여신거래 안심차단 신청이 약 45만건 이뤄졌다. 특히 해킹사고 후 전체 신청 인원 중 40대 이하의 비중이 약 65%를 차지했다.
이에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금융보안원·각 금융협회 등은 오는 30일 비상대응회의에서 금융권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 금융당국과 금융회사는 해킹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긴밀한 공조체계를 유지하고, 사고 발생 시 즉각 대응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금융당국은 금융감독원 통합콜센터를 통해 SKT 해킹과 관련된 금융사고 피해를 접수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피해 발생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만큼, 금융당국과 금융회사의 유의사항 안내와 필요한 조치를 따라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SKT 해킹 늦장 신고 논란… 유상임 과기장관 "합당한 처벌 받을 것"
- 금융위, 보험업법 시행령·감독규정 입법예고
- 카카오페이, SKT 금융사고 관련 대비책 강화
- SKT발 돌풍에…피해예방 안내 나선 카드·캐피탈업계
- SKT 유심보호서비스, 40만명 몰려 '먹통'
- SK텔레콤, 사이버 사고 후속 대응… '유심 무료 교체 예약 시스템' 운영
- 유영상 SKT 대표 "통신 역사상 최악 해킹에 동의"
- 금융당국, 보험 판매수수료 분급 방안 1년6개월 유예
- SKT "전국 2600여개 T월드 매장 신규 가입자 모집 중단"
- 금감원 "지난해 보험사 해외점포 44개, 잠정 당기순익 흑자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