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증권.
사진=KB증권.

KB증권이 1분기 양호한 실적을 선보였다. WM(자산관리)과 S&T(세일즈앤트레이딩)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전 분야에서 업계 최상위권을 지켰다.

지난 24일 KB금융에 따르면 KB증권의 1분기 그룹 연결 대상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은 1799억원이다. 전년 대비 9.1% 감소한 기록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줄어든 2227억원을 거뒀다. 

충당금 전입액은 2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일반관리비는 24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했다. 영업외손익은 142억원을 기록했다.

총영업이익은 4855억원을 벌었다. 전년 동기 대비 3.8% 줄었다.

총영업이익 항목을 살펴보면 WM 부문이 2177억원을 달성했다. WM자산은 65조1000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 이중 채권이 34조3000억원, 신탁이 22조3000억원으로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했다. 펀드 자산은 5조2000억원이고 ELS/DLS/중개형 ISA등이 3조3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리테일 고객 총자산은 153조7000억원이다.

KB증권은 WM 자산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시장 변동성과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위기대응체계를 운영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또 연금사업에 집중하면서 개인고객 중심으로 연금 잔고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끼쳤다.

KB증권 관계자는 "변동성에 대응해서 고객 관리에 집중하고, 수요와 시황에 맞는 상품을 적시 공급하고 있다"며 "연금 사업에서는 연금자산관리센터 조직을 신설해 고객 관리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금 플랫폼을 개선하고 마케팅도 강화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고객 가치 중심으로 WM 영업을 확대해 지속 성장을 이뤘다"고 덧붙였다.

국내주식 브로커리지는 전 분기 대비 증가한 모습이다. KB증권의 1분기 기준 개인 투자자의 국내주식 시장거래대금은 1514조3000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0.1% 감소했지만, 전 분기 대비 11.6% 증가했다. 1분기 들어 국내주식 거래량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관주식 시장거래대금은 205조3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49.7% 증가했다. 다만 전 분기 대비로는 22.2% 감소했다.

IB(기업금융) 부문에서는 1013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19.5% 줄어든 기록이지만 업계 리그테이블에선 우수한 실적이다.

KB증권은 1분기 ECM 리그테이블에서 1위를 차지했다. 1분기 최대어 LG CNS의 성공적인 상장과 함께 1분기 총 5건의 IPO를 완수했다. 이와 함께 유상증자 3건을 주관하면서 IPO와 ECM 리그테이블에서 1위를 수성했다.

DCM 부문에서는 2위에 올랐다. 1분기 기준 KB증권의 국내채권 대표주관 금액은 약 13조3767억원이다. 연초 회사채 시장이 달아오르면서 공격적으로 공모채를 주관한 성과로 풀이된다. KB증권 관계자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영업으로 단독, 대규모 대표주관 딜이 늘어났다"며 "DCM 시장에서 경쟁력을 보이면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수금융에선 국내 우량 인수금융 리파이낸싱 2건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M&A 자문은 2건을 기록했다. KB증권은 인수금융 시장에서 앞서나가기 위해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지배구조·자문 영업력을 높여나가겠다는 설명이다.

S&T 부문에선 괄목할 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1분기 S&T 부문 영업이익은 10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 특히 세일즈를 살펴보면 패시브영업부문이 역대 최대 분기영업이익을 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기관주식과 국제 인바운드 high-touch(브로커 직접 주문 위탁매매)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트레이딩 부문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30% 가까이 증가했다.

KB증권 관계자는 "글로벌 채권 거래∙장외파생상품∙아웃바운드 주식영업 수익이 늘었다"며 "글로벌 Biz 확대 지속을 위한 플랫폼 강화와 부문 내 협업을 강화했다"고 전했다.

이어 "트레이딩은 금리인하 대비 선제적 포지션 구축과 미국채 매수 대응으로 채권 수익이 증가했다"며 "이자율구조화, FX 리테일 거래 등을 기반으로 한 플로우 비즈니스 수익 증대와 함께 시장 중립형 전략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