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투자증권은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는 등 철저한 내부통제를 평가·보상의 최우선 원칙으로 도입했다고 22일 밝혔다.
신한투자증권은 작년 10월 ETF LP 손실 사건을 겪으며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위기관리·정상화 TF가 구동되면서 '잘못된 관행 제거와 새롭고 건강한 회사' 만들기를 위해 올해 1분기까지 내부통제·조직문화·인적혁신 등 다양한 과제를 설정하고 강력히 추진했다.
이번 제도 도입은 내부통제 강화를 단순한 슬로건이 아닌 실천으로 옮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먼저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최고경영진을 포함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한다. 특정 임원 책임제에서 벗어나 회사 임원이 공동 부담하는 집단 책임제를 선언했다. 단 내부통제 관련 임원은 업무 특성상 제외된다.
부서 평가도 내부통제 중심으로 이뤄진다. 내부통제 평가비중을 대폭 확대하고 미흡 시 평가 점수와 관계없이 성과평가 등급을 최저로 하향 조정할 수 있도록 강화했다.
필벌과 신상도 모두 강화했다. 내부통제 관련 미들·백 오피스 업무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연말 성과우수 부서, 직원 포상 업적평가 대회에 내부통제 플래티넘 부문을 신설했다.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금융기관에게 고객 신뢰는 최고의 자산"이라며 "내부통제를 평가·보상에 직접 연결해 실천 의지를 극대화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잠재적 리스크까지 치유해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내부통제 강화 조치를 지속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