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한 행정명령 펼쳐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서명한 행정명령 펼쳐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장비 등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를 부인하면서 글로벌 전자업계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미 관세국경보호국의 상호관세 면제 발표에 한숨 돌렸던 삼성전자는 공급망 전략 재정비라는 과제에 재차 직면하며 고심에 빠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3일(이하 현지시간) 자신의 SNS인 트루스 소셜을 통해 "스마트폰과 PC 등이 관세 예외라고 밝힌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앞서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했던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0일 이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지난 11일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이 스마트폰, 노트북, 메모리칩 등 20개 품목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밝히자 외신 등은 이를 상호관세 정책 완화로 분석했고, 글로벌 전자업계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하지만 이틀 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SNS 트루스 소셜을 통해 "해당 제품들은 기존의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상호관세 면제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에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다시 한번 불확실성에 직면한 상태다.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 출시 예정인 초슬림 스마트폰 '갤럭시S25 엣지'와 하반기 출시 예정인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와 '플립' 모델의 생산을 베트남에서 진행 중이다. 상호관세가 현실화되면 베트남에서 제조된 삼성의 스마트폰에는 46%의 높은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베트남은 실제 대부분의 삼성 스마트폰이 생산되는 곳으로 연간 1억2000만대가 이곳에서 만들어져 북미와 유럽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 수출된다. 이들 제품의 미국 출고 가격이 높게 책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보니 삼성전자는 당장 신제품의 가격 인상 여부와 판매 전략 재검토, 그리고 생산 공급망도 조정도 함께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한국과 베트남, 브라질, 튀르키예, 인도 등에서 스마트폰을 생산 중인데 이중 미국 시장의 주력 상품인 프리미엄폰 제조시설이 갖춰진 국가는 베트남과 한국 정도다. 

한국 공장의 경우 출하량은 전 세계 출하량의 10% 미만인데다 생산량 대부분이 주로 국내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브라질과 튀르키예 등 낮은 관세율이 부과되는 생산 거점의 경우 지역 수요 충족을 위한 거점으로 수출을 할 만큼의 생산 능력은 부족하다. 

베트남 만큼의 물량 생산이 가능한 거점은 인도가 유일한데 대부분의 생산량이 인도 시장에 공급되는 데다 중저가 모델 중심의 생산 구조로 글로벌 시장 수요에 충촉하기 위한 프리미엄 스마트폰 제조에는 한계가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짧은 시간 내 생산 공급망을 조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계속해서 변동성을 보이면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전자업계는 불확실성 속에서 공급망 전략을 재정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며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생산 기지 다변화와 함께 관세 정책의 추이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