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사옥 전경.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사옥 전경. 사진=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주요 경쟁사인 애플이 미·중 마찰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생산 구조와 수출 전략이 경쟁력을 보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이 글로벌 무역 질서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중국에 대한 관세를 125%까지 인상하며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반면 한국을 포함한 70여개 국가에는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기로 하면서, 관세 부담이 기업별로 극명하게 엇갈리는 상황이 연출됐다. 중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애플은 고율 관세의 직격탄을 맞으며 생산 비용과 제품 가격 인상 압박에 직면했고, 최근 주가가 20% 넘게 하락하는 등 시장 충격도 이어지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는 상대적으로 관세 부담이 덜한 생산 구조에 놓여졌다. 이미 주요 생산기지를 중국 외 지역으로 분산시켰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전체 스마트폰 생산 물량의 절반 이상을 공급하는 베트남 공장을 비롯해 한국, 인도, 터키, 브라질 등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베트남산 제품에 대해 46%의 관세 부과를 검토해 온 바 있으나, 이번에는 유예 조치가 적용돼 10%의 기본세로 조정됐다.

결국 미·중 무역 갈등으로 삼성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스마트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된 셈이다. 고율 관세로 애플 제품의 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삼성은 관세 영향을 덜 받아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대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격 차이는 북미를 비롯한 주요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의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

생활가전 부문 역시 경쟁사 대비 관세 충격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삼성전자는 과거 중국을 주요 생산 거점으로 삼았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 생산시설을 단계적으로 축소하며 베트남, 인도, 멕시코 등으로 이전해 왔다. 현재 중국 내에는 반도체 관련 공장만 일부 남아 있을 뿐, 생활가전 생산 거점은 사실상 철수된 상태다. 남아 있는 반도체 공장 또한 미국 수출용 생산에는 활용되지 않으며, 중국 및 아시아 내수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반도체 부문의 경우 희토류 등 중국산 원자재 수출 제한 정책으로 수급 부담이 일부 제기되고 있으나, 단기적 생산 차질 우려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일정 수준의 재고와 대체 수입선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실제 수출이 전면 차단된 것이 아니라 허가제 전환인 만큼 당장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더해 정부도 희토류 수급 안정화를 위해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서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 전략 희소금속 비축 물량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호주 등 대체 공급처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공급망 안정화에 나서면서 단기적인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키워드
#삼성전자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