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증가하며 증가세로 전환됐다.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전체 가계대출 규모가 확대된 영향이다.
12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2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2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4조3000억원 증가해 전월 감소세(-9000억원)에서 뚜렷한 증가세로 돌아섰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원 증가하며 전월(3조2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고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해 전월(-4조1000억원) 대비 감소 폭이 줄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3000억원 증가해 전월 감소세(-5000억원)에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정책성 대출은 전월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고 은행 자체 주택담보대출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 폭이 축소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도 전월 감소세(-5000억원)에서 1조원 증가로 전환됐다. 상호금융권(+8000억원)과 여전사(+3000억원)는 증가세로 돌아선 반면 저축은행(-200억원)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보험사 대출은 전월(-5000억원)보다 감소 폭이 축소됐다.
2월 주택담보대출은 5조원 증가하며 전월(3조2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은행권에서는 주담대가 3조5000억원 증가해 전월(1조7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컸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 세부 내역을 보면 은행 자체 대출은 6000억원 증가해 전월(-6000억원)에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정책성 대출인 디딤돌·버팀목 대출은 3조4000억원 증가해 전월(2조9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보금자리론 등은 6000억원 감소했다.
대출 유형별로는 일반 주택담보대출이 2조2000억원 증가했으며 집단대출은 1조7000억원 감소했다. 전세자금 대출은 1000억원 증가해 소폭 증가세를 기록했다.
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은 전월과 동일한 1조5000억원 증가세를 유지했다. 상호금융권(+8000억원)과 여전사(+3000억원)가 증가세로 돌아선 반면 저축은행(-200억원)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보험사 대출은 전월(-5000억원)에서 1000억원 감소에 그쳤다.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해 전월(-4조1000억원) 대비 감소 폭이 크게 줄었다. 이는 신용대출이 전월 -1조5000억원에서 1000억원 증가로 돌아선 영향이 컸다.
은행권 기타대출은 2000억원 감소해 전월(-2조1000억원) 대비 감소 폭이 축소됐다. 반면 제2금융권 기타대출은 전월(-2조4000억원) 대비 1조원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2월 가계대출이 금융권이 연초 새로운 경영 목표를 세우고 대출 취급을 본격적으로 재개한 점 신학기 이사 수요 등이 겹치며 증가 폭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주택도시기금 재원의 디딤돌·버팀목 상환이 확대되고 신학기 수요 해소 등으로 3월 들어 주택담보대출 실행이 감소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가계대출 증가세는 충분히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융당국은 일부 지역에서의 주택 가격 상승 조짐이 있는 만큼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주택 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관계 부처 간 긴밀한 공조 아래 지역별 주택 시장 상황과 주택담보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택시장 상승폭 확대 우려로 인해 과도한 불안 심리가 확산되거나 투기·시장 교란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