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증권가 모습/사진제공=연합뉴스
 여의도 증권가 모습/사진제공=연합뉴스

증권사들이 연기금과 공공기관의 여유 자금을 통합 운용하는 '연기금투자풀'의 주간 운용사로 참여한다.

1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연기금투자풀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핵심 내용은 연기금투자풀 주간 운용사 자격을 기존 자산운용사뿐 아니라 자본시장법상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을 마친 증권사에도 개방한다는 것이다.

연기금투자풀은 연기금과 공공기관의 여유자금을 통합 운용하기 위해 지난 2001년 도입된 제도로 우리나라 최초의 자금 위탁운용(OCIO·Outsourced Chief Investment Officer) 선도모델이다. 지난해 평잔 기준 61개 기금, 54개 공공기관이 62조1000억원을 예탁 중이다.

지난해 말 기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을 완료한 증권사는 교보증권,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9개사다. 정부는 경쟁 입찰을 진행해 이들 중 상위 2개사를 주간 운용사로 선정할 계획이며 선정 주기는 4년으로 설정했다. 세부 선정 방안은 상반기 중 연구 용역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주간운용사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평가 점수 기준도 67점에서 70점으로 상향했다.

이번 개편안은 공공부문의 투자풀 위탁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것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공공기관이 관리하는 법령상 기금과 공직유관단체의 유휴 자금도 투자풀에 위탁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 시 '현금성 자산의 연기금투자풀 예탁 활성화' 항목을 신설해 공공기관의 참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또 고수익·중장기 자산에 투자 인센티브를 도입해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한다. 그러면서 부동산·사모펀드 등 비전통 자산의 대체투자 심사 절차를 간소화해 투자 활성화를 꾀할 전망이다.

국제금융기구 자산 운용상품을 비롯한 대체투자 유형도 늘어난다.

정부는 외화 자금을 보유한 기금과 공공기관을 위해 달러 머니마켓펀드(MMF)를 투자풀에 도입, 환전 수수료를 절감하고 자산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더불어 통합펀드 내 개별 펀드 형태로 국내 주식·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를 도입하는 등 상품 라인업을 다양화해 투자자들의 선택 폭을 넓힐 예정이다.

이번에 발표된 개편안은 투자풀운영위원회 의결과 관련 규정 개정을 거쳐 상반기 내에 본격적으로 시행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