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는 여론조사 방송 관련 실태 및 전문가 조사를 통해 여론조사 방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담은 '여론조사 방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방심위는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중앙선관위 여론조사 등록 건수가 1500건에 이르는 등 여론조사 결과가 방송과 언론에서 활용되는 횟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라며 "여론조사 방송은 정치·사회 쟁점 사안을 주로 조사하기 때문에 사회적 악영향·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엄밀성, 절차적 타당성, 조사과정과 분석 과정의 객관성, 해석 내용의 보편성 등을 담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보고서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기간인 지난 1월 1일부터 4월 9일까지 100일 동안 주요 지상파, 종편, 보도PP 등 9개 방송사에서 여론조사를 인용해 방송된 보도프로그램 전수조사를 통해 여론조사 방송 보도 유형과 특성을 분석했다.
여론조사 방송횟수는 지상파 방송의 경우 KBS(924건), SBS(264건), MBC(229건)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YTN(824건), 연합뉴스TV(394건), MBN(344건), 채널A(297건), TV조선(260건), JTBC(133건)순이다.
또 지난 2021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위원회의 심의의결 사례를 분석한 결과 총 106건으로 TV가 46건(43.4%), 라디오가 60건(56.6%)로 파악됐으며, 제재 수위별로 보면, 의견제시 59건(55.7%), 권고 45건(42.5%), 주의 2건(1.9%)로 조사됐다.
연구결과를 통해 방송사들의 여론조사 활용·의존도는 높지만, 방송사 자체 발주 조사는 '비용부담 증가', '여론 조사 회사들의 정기 자체조사 증가' 등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하위표본 분석 보도, 오차범위 해석 등 일부 문제점들에 대해 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방심위는 "연구보고서를 유관기관·시민단체·학회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시의성 있는 심의 실무관련 연구주제 발굴을 통해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련 규정 정비 등 대응방안 마련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