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뱅크의 기업공개(IPO)에 최대주주인 BC카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BC카드 내부에서는 내심 케이뱅크 IPO가 성공하길 바라는 눈치다. 상장이 실패하거나 적정 몸값이 나오지 않을 경우 프리IPO 과정에서 손을 빌린 재무적투자자(FI)들에게 약 7000억원을 돌려줘야 하기 때문이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오는 30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한다. 오는 16일까지 기관수요예측을 마무리하고 18일 공모가를 확정, 21~22일 기관 및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NH투자·KB·메릴린치증권이 공동대표 주관을 맡았다.
케이뱅크의 대주주는 BC카드(지분 33.72%)다. BC카드는 모기업인 KT가 대주주 적격성 이슈로 케이뱅크 지분을 보유할 수 없게 되자 2020년 4월 주식 전량을 넘겨으며 2300억원을 쏟아부었다. 2021년에는 케이뱅크 경영정상화를 위해 직접 4250억원도 투입했고 FI를 유치해 프리IPO 형태로 7250억원을 지원했다.
FI들은 케이뱅크가 2026년 7월까지 상장하는 조건으로 자금을 투입했다. 만약 케이뱅크 IPO가 실패하거나 일정 수준 수익률을 보장하지 못하면 BC카드는 FI들이 투자한 지분 7250억원을 매입해야 하는 콜옵션에 걸린다. FI들도 비씨카드에게 비슷한 금액의 드래그얼롱(동반매도청구권)과 풋옵션 조항을 걸었다. BC카드가 케이뱅크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은 셈이다.
일부에서 지적하는 케이뱅크 밸류에이션의 '고평가' 논란에도 BC카드 내부에서는 내심 IPO 성공을 기대하는 눈치다. IPO 성공 시 BC카드가 취할 수 있는 실질적 이득은 크지 않지만, FI들이 납득할만 한 수익률로 IPO를 완주한다면 BC카드도 옵션 부담을 덜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FI들 중에서는 △MBK파트너스(Khan SS.L.P) △베인캐피탈(BCC Kingpin, LCC) △새마을금고 GP(운용사)인 카니예유한회사(엠씨파트너스, 토닉PE) △JS신한파트너스(JS PE, 신한대체투자운용)이 구주매출에 나선다.
BC카드는 특히 이번 국정감사 기간 동안 인터넷은행 인가와 관련한 김병환 금융위원장의 발언에도 관심을 기울였다는 후문이다. 금융위는 은행권의 신규 경쟁자 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현재 3곳인 인터넷전문은행에 더해 추가 인가를 검토하고 있으며 오는 11월 인가 심사기준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10일 국회 정무위 국감에 참석해 "인터넷전문은행 신규 인가 절차도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케이뱅크의 IPO 완주에 힘을 더할 수 있는 발언이고, BC카드도 해당 발언에 반색한 것으로 보인다.
- 상장 '닻' 케이뱅크…최우형 행장 "비대면 금융 선도 목표"
- 케이뱅크, 상장 코앞…시가총액 최대 5조
- IPO 앞두고 카뱅 살피는 케이뱅크…해외 피어그룹 찾을까
- 상장 나선 케이뱅크, 토스에 주관사 내주고 최대주주 눈치 [IPO 물음표①]
- 최우형 케이뱅크 행장 "기술력 강점…업비트 협력 계속"
- 코스피 상장 임박한 케이뱅크 '고평가' 극복할까
- 상장 앞둔 케이뱅크 성장성 의문에 최우형 "기업금융 돌파구"
- 김태규 방통위원장 직무대행 "이진숙 위원장 탄핵, 헌재법 가처분 인용 덕에 결말 기대"
- 한투·KB·대신·NH투자증권 [Daily Pick 증권]
- 케이뱅크 수요예측 부진에 IPO 철회…"공모구조 변경한다"
- 인터넷은행서 대출받은 20대 연체율 급등… 최고 4% 넘어
- BC·KB국민·하나카드 [Daily Pick 금융]
- BC카드, 골프용품 할인·경품 이벤트 진행
- BC카드, 3분기 누적 순익 1292억원…전년 대비 85.7%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