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사옥. 사진=포스코

 

지난해 창사 이래 첫 파업 위기에 직면했던 포스코에서 파업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사측이 노조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기본급 인상안과 성과급 개편을 추진하면서다.

5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은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실무 교섭에 나선 상황이다.

노조는 기본임금 8.3% 인상과 더불어 △의료비 신설 △학자금 지원 상향 조정(자녀 수 및 금액 한도 폐지) △명절 상여금 등 지원 개선 △복지포인트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측은 6만3000원(2.3% 수준) 인상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노조가 요구한 중식비 20만원 지원과 하계 휴가 및 휴가비 신설 등 10여가지 안건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사측은 경영 목표 달성 시 격려금(200만원)과 노사 화합 격려금(200만원)을 지급한다는 안건과 더불어 노사 화합 격려금은 '쟁의 투표 가결 시 미지급'이란 조건을 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경영 성과급 제도 개선을 추진하면서 조합원들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노조는 성과급 제도 개선과 관련해 "논할 가치가 없다"며 "요구 원안 그대로를 요구하며 사측이 노조의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단체행동을 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벌어졌던 창사 이래 첫 파업 위기가 올해 다시 한번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는 이유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해 5월24일부터 10월5일까지 24회 교섭을 진행했으나 임·단협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포스코 노조가 교섭 결렬을 선언한 이후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을 신청했으나 합의하지 못했고 조정 기간 조합원들이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통해 75%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한 바 있다.

그러나 중앙노동위원장이 이례적으로 조정에 참여한 끝에 노사 잠정 합의안이 도출되고 조합원 찬반 투표에서 합의안이 가결되면서 일단락됐다.

키워드
#포스코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