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가 영업이익 기반 경영 성과급 제도 개선안을 제안했지만 노동조합이 이를 거부하고 나섰다.
19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최근 포스코 사측은 노조와 임금 및 단체 협상 과정에서 경영 성과급 제도 개선 수정안을 제시했다.
성과급 재원 기준을 현행 '영업이익 5.5%+200%'에서 '영업이익 7%+400%'로 변경하는 내용이 골자다. 영업이익 2조~3조원이면 800%를 지급하던 구간은 1조6000억원~2조6000억원 달성 시 800% 지급으로 변경했다.
안건에는 흑자 발생 시 기존 800%에서 600%로 하향 조정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영업이익 1조6000억원 미만시 성과급이 1조원당 100% 감소할 수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
회사는 경영성과급 제도 개선과 함께 10년치 영업이익에 따라 주식으로 보상하는 인센티브 제도 신설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성과급 상한점 조정은 논의 가능하지만 흑자 발생 시 기존 800%에서 600% 하향 조정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직원들은 사측의 성과급 제도 개선 추진과 관련해 "회사에서 성과급 건드리는거 열받는다", "하한 기준 잘못 정했다가 나중에 200%씩 빠질 수 있다", "최근 영업이익 반영이라는데 영업이익이 3조원 이상 나오겠나" 등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포스코의 경영 성과급 개선 추진이 성과급 규모를 줄이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상황인 만큼 성과급 축소 지급의 명분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포스코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853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1907억원) 대비 24.8% 감소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현재 노조와 협상을 진행하는 단계며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성과급 제도 개선 방안을 찾아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