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대출을 공급하기 위해 은행장들과 만날 예정이다.
이복현 원장은 그간 은행권에 단순 대출금리 인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가계대출을 줄이라는 의견을 내비쳤으나 이날 1주택자 대출 제한은 과도하는 입장도 함께 전했다.
4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서울 영등포구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열린 '가계대출 실수요자 및 전문가 현장 간담회'에 참석했다.
간담회 이후 취재진과 만난 이 원장은 "창구에서 업무를 담당하는 은행 직원분, 상담한 소비자 얘기를 가감없이 듣고자 했다"고 이날 간담회 취지를 설명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실수요자들은 대출 정책이 너무 급작스럽고 예측 못하게 바뀌는 점을 지적하며 3개월 뒤, 6개월 뒤에 대출을 받고자 미리 상담했는데 대출 여부나 가능 금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장은 "이와 관련해 명절 전, 다음 주라도 은행장을 뵙고 실제 은행 상품 운영 방식을 논의할 것"이라며 "은행에서도 예측 못한 가계대출 급증 추이를 막기 위해 조금 들쭉날쭉한 상품 정책이 나오고 있는데 저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자고 하기는 어렵지만 은행 자체적으로 합리적인 선에서 기준을 맞춰야 소비자들도 혼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 가계대출을 어떻게 운영할지 상황을 점검하고 은행이 하는 대출 정책이 효과적이면서도 실수요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뭔지 중지를 모을 것"이라며 "은행이 내놓은 대출 정책이 급작스러워도 나쁘지 않고 효과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도 살펴보겠다"고 덧붙였다.
이복현 원장은 지난달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서 은행이 가계대출 축소를 위해 금리를 인상하자 "최근의 은행 가계대출 금리 상승은 당국이 바란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은행권은 유주택자 주택담보대출 및 전세대출 제한 등 주택 관련 대출 문턱을 높였다.
이 원장은 이날 "대출 절벽, 아무도 대출을 받지 못한다는 얘기는 일종의 가짜뉴스"라면서도 "1주택자도 경우에 따라 투기가 아닌 실제 거주 목적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 기계적이고 천편일률적으로 그걸 금지하는 건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연합회에서 이번 주부터 실무협의체를 가동한다고 하니 저희도 참여해 고민을 전하겠다"며 "가계대출 관리 추세가 늦어지더라도 실수요자에 부담을 주지 않는 쪽으로 흐름을 관리할 것"이라고 했다.
- 이복현 금감원장 또 우리금융에 직격탄
- 이복현 금감원장 "은행권, 주담대 상환액으로 대출 규모 관리해달라"
- 이복현 금감원장 "은행 가계대출 금리 상승, 개입 필요성 느껴"
- KB국민은행, 1주택자 주담대·신용대출 한도 잡는다
- 은행연합회, 일본은행협회와 '금융산업 역할' 공동 세미나
- 이복현 "인도에 한국 금융 결합해 성장 기반 마련"
- KB국민은행, 'KB셀러론' 약정 대상 소상공인 셀러에 이자 지원
- 이복현 "가계대출, 은행권 자발적 노력 안착 지원할 것"
- 김한규 의원 "이복현 금감원장의 부적절한 해외 IR 동행 법으로 막아야"
- 코픽스, 한 달 만에 0.06%p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