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직장119가 조사한 2024 여름휴가 설문조사 계획 응답률 그래프. 사진 = 시민단체 직장119
시민단체 직장119가 조사한 2024 여름휴가 설문조사 계획 응답률 그래프. 사진 = 시민단체 직장119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올해 여름휴가 계획을 설문조사한 결과 직장인 절반 이상이 경제적 부담을 이유로 여름휴가를 포기하거나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답했다고 4일 밝혔다.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설문조사는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진행됐다. 설문 결과 올해 여름휴가 계획을 세운 직장인은 48.5%, 없다고 답한 직장인은 20.4%,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31.1%였다.

이 중 여름휴가를 포기했거나 계획을 유보한 응답자 51.5%는 휴가를 보류한 이유로 '휴가 비용이 부담돼서'를 꼽은 비율이 56.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유급 연차휴가가 없거나 부족해서'(12.2%) △'휴가 사용 후 밀려 있을 업무가 부담돼서'(10.9%) △'휴가를 사용하려니 눈치가 보여서'(7.8%) 순이었다.

휴가 비용의 부담은 정규직(51.8%)·상위 관리자(50%)보다 비정규직(61.9%)·일반사원(61.2%)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공공기관 재직자는 휴가 사용이 눈치보인다는 응답률이 15.7%로 가장 높아, 300인 이상 사업장(3.8%)·5인 미만 사업장(6.4%)의 각 4배, 2.5배가량에 달했다.

119 측은 개인 연차를 사용해 여름휴가를 신청한 뒤에도 이유 없이 거부당하거나 업무량이 많다는 이유로 휴가 기간에도 일을 하라고 강요하는 휴가 '갑질' 사례도 적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도하 직장갑질119 노무사는 "재직 중인 노동자가 노동청에 쉽게 신고하지 못한다는 점을 악용해 사업장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없는데도 사용자의 연차 시기 변경권을 남용하거나 사업주의 여름휴가 사용 시기에 맞춰 강제로 연차를 소진하게 하는 등의 일이 매년 여름 휴가철마다 반복돼 벌어진다"고 비판했다.

그는 "노동자의 휴식권 보장에 대한 인식 개선과 노동법의 사각지대에 있는 노동자들을 위한 입법적 보완이 모두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