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아워홈이 경영권 분쟁 종결 이후 기업공개(IPO) 추진을 선언하면서 난관이 예상된다. 기업가치 과도 책정·우선매수권·세 자매 소송 리스크·노조 반발 등을 잠재워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유통 업계에 따르면 아워홈은 오는 2026년 상반기를 목표로 국내 주식시장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빠르면 올해 안에 IPO 주관사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상장 준비 밑그림을 그린다는 방침이다.
먼저 아워홈의 남매 경영권 분쟁 끝에 구미현 부회장은 지난 19일 취임했다. 취임 직후 구 부회장은 경영권 매각 의사부터 드러냈다. 구 회장은 취임사에서 "주주 간 경영권 분쟁을 근원적으로 끝낼 방법으로 전문경영인에 의한 합리적인 회사 경영으로의 경영권 이양을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 연합은 아워홈 지분을 사모펀드 운용사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이들이 지분 매각을 추진한 것은 이번이 처음도 아니다.
앞서 아워홈 남매는 지난 2017년부터 7년여간 경영권 갈등을 빚어왔다.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 '연합'은 지난 2022년 지분 동반 매각을 시도했으나 한 차례 실패했다. 일각에서는 구 회장이 대표 자리에 오른 것 역시 회사 매각을 추진하려는 행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 2022년 구본성·구미현 연합은 아워홈 지분 매각을 추진할 당시 향후 성장성을 반영해 아워홈의 기업가치를 최대 2억원으로 책정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아워홈의 가치가 과도하게 책정됐다는 반응이다. 시장에서 책정한 아워홈 기업가치는 약 50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아워홈 장관에 명시된 '우선매수권'도 문제다. 구 회장과 구본성 전 부회장이 지분 매각에 나서면 구지은 전 부회장과 셋째 구명진 씨가 해당 지분에 대한 우선매수권을 갖게 돼 일방적인 매각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밖에도 세 자매간 소송 리스크도 매각의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지난 2021년 주총에서 세 자매가 맺은 '의결권 통일 협약'을 법원이 인정하면서 제동이 걸렸다. 세 자매 중 누군가 협약을 위반할 경우 다른 주주에게 각각 300억원을 위약금으로 지급한다는 조항이 걸림돌이다.
최근까지 구지은 전 부회장은 이와 관련한 법적 검토를 진행했다. 관련 소송이 진행될 경우 1200억원에 달하는 위약금과 관련한 구 회장의 지분 가압류 절차가 이뤄질 수 있어 매각 추진 구상이 꼬일 가능성이 있다.
아워홈 노조의 반발도 만만찮다. 노조 측은 지금껏 장남과 장녀가 사익만 추구해 왔다며 장남·장녀의 이사회 장악에 반발하고 있다.
지난 2004년 아워홈에 입사해 경영에 참여해 온 구지은 부회장과 달리 구미현 회장은 지금껏 경영에 참여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노조는 경영 능력에 의문점을 드러냈다.
노조는 "회사 성장에 전혀 관심 없고 경영에 무지한 구미현, 이영열 부부는 사내이사에서 즉시 사퇴하고 대주주에서 물러나라"며 "아워홈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오너들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지적했다.
아워홈 관계자는 "매각과 경영권 분쟁 이슈를 잠재우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고려중에 IPO 추진이 언급됐다"며 "추후 추진 여부와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시간차를 두고 확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아워홈은 지난해 매출 연 1조9835억원으로 전년 대비 8% 성장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943억원으로 전년 대비 75% 증가했다. 상장 추진에 앞서 회사의 실적 주춧돌은 놓은 셈이다.
- 아워홈·삼양식품·쿠팡·하림·남양유업·이마트24 外 [Daily Pick 유통]
- 구미현 아워홈 회장, 취임 인사…"전문 경영체제 구축할 것"
- 아워홈 장녀 구미현씨, 새 대표이사로…남편은 부회장
- 구지은 떠난다...아워홈 '남매전쟁' 3차전, 오빠 구본성 승리
- [속보] 구본성 아워홈 전 부회장 장남 구재모씨 사내이사 선임
- 상반기 IPO, 인수액 KB증권 1위…수수료는 NH투자증권 '최고'
- 아워홈, 한식소담길 식약처 위생등급 '매우 우수' 획득
- 아워홈, '아토키토'에 맞춤형 식자재 공급
- [단독] 약속 지킨 구미현 회장, 아워홈 기본급 최대 8.75% 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