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30일 국내 보험회사 최고경영자들을 만나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보험개혁을 당부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30일 국내 보험회사 최고경영자들을 만나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보험개혁을 당부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30일 국내 보험회사 최고경영자들을 만나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보험개혁을 당부했다.

최근 보험사들의 과도한 상품 출혈경쟁이 다시 불완전판매 등 소비자 신뢰저하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은 30일 서울 광화문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보험사CEO 간담회'를 열고 보험권 당면 과제 등 업계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했다.

이날 이복현 원장은 "보험업은 시장 성숙에도 성장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포화시장 속 출혈경쟁으로 '보험산업은 민원왕'이라는 불명예를 지고 있다"며 "소비자 신뢰도가 타업권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했다.

이어 "최근 미스터리쇼핑 결과 종신보험을 저축성보험으로 설명하거나 고객에게 불리한 사항을 부실 안내하는 등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당국이 신뢰회복·혁신을 위한 보험개혁회의를 발족한 만큼 영업관행, 상품구조, 건전성 규제 등 복합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한 보험권의 적극적인 지원도 당부했다.

이복현 원장은 "금융시장이 불안할 때마다 보험업계가 장기자금을 적시에 공급하는 등 자본시장 안정에 크게 기여해왔다"며 "이번 부동산 PF 대책에서도 기관투자자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국도 실효성 있는 인센티브 방안을 철저히 준비해 조속히 실행하는 등 업계의 참여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원장은 보험업의 신성장동력 발굴에 관해서도 지적했다.

이 원장은 "보험업은 시장 과포화 상태에다 인구감소, 기후위기, 디지털화 등 구조적인 환경 변화에도 크게 노출돼 있다"며 "현재 상황이 타개되지 않고 지속된다면 보험업은 구조조정, 시장재편 등을 맞이하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 후생을 제고할 수 있는 '질적 혁신' 신사업 발굴과 해외진출 확대와 같은 '시장개척'을 통해 보험업이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강조했다.

보험사 CEO들은 소비자 신뢰 회복과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해 근본적인 개혁을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는 데 공감했다. 아울러 보험업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마련에 건설적인 의견을 개진하는 등 적극 협조하겠다고 뜻을 모았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 한화, 교보, 미래에셋, 신한라이프, 동양 등 생명보험 6개사와 삼성, DB, 메리츠, 현대, KB, 흥국 등 손해보험 6개사 CEO가 참석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