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풀무원의 재무 안정성에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파악됐지만 남승우 창업주는 꾸준한 배당 수익을 챙겨 논란이 예상된다.
26일 금융감독원 공시자료에 따르면 풀무원의 부채비율은 2018년 기준 173%에서 지난해 325.8%까지 2배 가까이 치솟았다. 영업이익률 역시 2018년 기준 1.77% 이후 최대 2.1%를 기록해 경쟁사인 CJ, 동원, 오뚜기, 대상이 기록한 4~7%와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풀무원의 부채총계는 2018년 7713억원에서 지난해 1조6502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아울러 이자 비용도 804억원으로 전년 대비 65.6%(485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2022년과 지난해 연속으로 이자 비용이 영업이익을 초과했다. 그 가운데 2022년 이자비용은 485억원으로 당시 영업이익 263억원보다 컸다.
부채비율 증가라는 위험 신호 앞에서 진행한 배당 정책에도 의문부호가 달렸다. 풀무원은 지난 5년간 19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지만 같은 기간 513억원이 넘는 배당을 실시했다.
2022년에는 37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나 배당금 지급은 오히려 2배 넘게 뛰었다. 2021년에는 배당금으로 52억원을 지급했지만 2022년 184억원을 지급했고, 지난해에도 166억원의 배당을 지급했다. 풀무원 최대주주인 남승우 창업주는 57%의 지분 속에서 홀로 약 274억원의 배당을 챙겼다.
관련기사
- 풀무원, '디자인밀' 서비스 확대…맞춤형 헬스케어 플랫폼
- 풀무원녹즙, 핸디밀 생딸기 가득 '청룡 에디션' 한정 출시
- 풀무원, 오프라인 맛 평가단 '이플레쉬' 29기 모집
- 39년 풀무원 첫 광고모델은 이효리… '풀무원지구식단' 캠페인
- 이동훈 풀무원푸드앤컬처 대표,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동참
- 이효율 풀무원 대표가 공들인 중국…'희망'에서 '계륵'
- 풀무원, 요원한 '부채비율 낮추기'…영구CB 오버행 시계 '째깍'
- [단독] 풀무원 생수 가격 논란…"수원지·무기질 같은데 새 상품 더 비싸"
- 풀무원, '풀무원 평화의 숲' 가꾸기 사회공헌활동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