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관광공사(이하 관광공사)는 중국인 방한관광 시장이 빠르게 회복됨에 따라 테마별 맞춤 상품 및 K-관광 로드쇼를 통해 관광객 유치에 나선다.
관광공사에 따르면, 2024년 1월 중국인 방한객수는 총 28만명으로 2019년 대비 71% 회복, 인바운드 시장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023년도 회복률 33%, 2023년 12월 회복률 49.8%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관광공사는 개별여행 및 체험형 관광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중국인 해외여행 트렌드에 발맞춰, 스포츠, 예술, 뷰티 등 맞춤형 콘텐츠와 테마상품을 발굴하고, 지자체와 공동으로 지역별 테마상품 방한객 유치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단체관광보다는 개별여행, 가성비를 중시하는 중국 MZ세대 대상 인기 자유 여행목적지로서의 방한 수요 확대를 위해 테마 맞춤 상품을 집중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한‧중 아마추어 교류 단체 매칭 등 중국 e스포츠 관심층 대상 상품화를 진행하고, 마라톤 대회와 같은 국내 개최 주요 스포츠 대회와 연계한 모객도 진행한다.
올해 중국 5개 지역(상하이, 광저우, 칭다오, 청두, 선양)에서 개최 예정인 K-관광 로드쇼와 연계하여 생활스포츠, 교육연수, 친선 교류단체 등 중대형 특수목적 단체 유치를 위한 집중 판촉 활동도 전개한다.
관광공사는 오는 27일 칭다오 K-관광 로드쇼에서 국내 지자체와 공동으로 지역별 중대형 교류단체 유치를 위한 지역 테마상품 유치 설명회를 개최하고, 현지 여행업계와의 B2B 트래블 마트도 추진할 예정이다. 칭다오 K-관광 로드쇼에는 국내외 유관업계 100여 개 기관, 업계 관계자 220여 명이 참가하고, 강원, 서울, 부산, 대구, 경기, 제주, 전남 등 7개 광역지자체에서 지역별 테마상품 판촉에 나선다.
조희진 관광공사 국제마케팅실장은 "올해가 중국 해외여행 회복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다양해지는 중국인 여행 수요에 맞춰 지역별 특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중대형 단체 유치뿐만 아니라 방한 비자 간소화 대상인 대학생 관광객 등 최근 중국 해외여행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개별여행객 유치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 벚꽃의 메카로 오세요…'D-24' 진해군항제, 성공 개최 '총력'
- '디지털 관광주민증', 25곳 신규 선정…'지역관광 활성화'
- 경기도 역사·문화·생태 담은 관광 콘텐츠는?…3월15일까지 공모
- 서울 도심 한복판에 높이 8m '초대형 해치' 등장
- 문화재청,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보존·복원사업 나선다
- 부산 대표 맛집 144곳은 어디?…'부산의 맛' 가이드북 발간
- 청와대 누적 관람객 500만 돌파…개방 1년9개월만
- 관광공사, 한류관광 활성화 위해 SM엔터와 '맞손'
- 지난해 방한 외국인 1100만명…일본 최다
- 유인촌 "관광객 2천만 달성 위해 맞춤형 전략 펼쳐야"
- 관광공사 "K-콘텐츠 활용해 관광 수출·내수 활성화"
- 세종·속초 등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 승인
-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은…문체부, 청년 목소리 듣는다
- 제주 저지곶자왈·저지오름, '이달의 생태관광지' 선정
- 문체부, 공연 무단 촬영·유포 피의자 5명 검거
- 하버드 대학생 100명, 한국 온다…서울·전주서 전통문화 체험
- '2024 코리아그랜드세일' 성료, 12만명 외국인 관광객 유치했다
- 관광공사, 반려동물 동반여행 활성화 위해 LG유플·제주항공과 맞손
- 관광공사, 세계 최대 관광박람회 ITB서 유럽 방한시장 공략
- 서울로 감성 여행 떠나요…서울연구원, 오디오 가이드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