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년 10월 26일이 무슨 날인지 아니? 바로 안중근 의사가 중국의 하얼빈이라는 곳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권총으로 쏜 날이야. 

그 무렵 우리나라는 일본의 침략을 받아서 거의 식민지 상태로 빠져들고 있었어. 그리고 그 침략세력의 우두머리가 바로 이토 히로부미였지. 이토 히로부미는 총칼을 든 일본의 헌병들을 끌고 우리나라 황궁까지 들어와서 고종황제와 대신들을 협박하기도 했어. 그렇게 강제로 맺어진 것이 바로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빼앗아간 '을사조약'이라는 것이었지. 하지만 그 때 다른 나라 사람들은 모두 일본이 우리나라를 도와주고 있는 줄로만 알고 있었어.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도 우리를 보호해주는 일본에게 고마워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어. 일본이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을 향해 그렇게 거짓선전을 해대고 있었거든. 

그래서 독립군 부대의 장군이었던 안중근 의사는 하얼빈 역에 도착해 기차에서 내려서던 이토 히로부미를 권총으로 쏘았던 거야. 일본이 우리나라를 돕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로 만들어서 지배하려고 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본의 지배를 반대하고 있다는 것을 세계사람들을 향해 보여준 것이지.  

이토 히로부미는 안중근 의사가 쏜 세 발의 총알을 맞고 그 자리에 쓰러졌어. 그리고 이토 히로부미를 호위하고 있던 일본군들은 모두 너무 놀라고 겁에 질려서 어쩔 줄을 모르고 있었지. 그런데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가 총에 맞아 쓰러지는 것을 확인하고도 도망을 치지 않았어. 그리고 품 속에서 미리 준비해온 태극기를 꺼내 흔들면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쳤지. 그러다가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달려든 경찰들에게 태연하게 붙잡혔지. 안중근 의사는 결국 감옥에 갇혔다가 일본인들로부터 사형을 당하고 말았지만, 끝까지 당당한 모습을 보였다고 해. 

안중근의사기념관 중앙홀 안중근의사 대형좌상. 뒤로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러 가기 전, 손가락을 잘라 피로 '대한독립'이라는 글씨를 써넣은 태극기가 보인다. 사진=안중근의사기념관 홈페이지
안중근의사기념관 중앙홀 안중근의사 대형좌상. 뒤로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러 가기 전, 손가락을 잘라 피로 '대한독립'이라는 글씨를 써넣은 태극기가 보인다. 사진=안중근의사기념관 홈페이지

그리고 그로부터 100년 뒤인 2010년 2월 26일. 이 날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그 날 캐나다의 밴쿠버라는 도시에서 동계올림픽 여자 피겨스케이팅 경기가 벌어졌어. 바로 우리나라의 김연아 선수가 역사상 가장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금메달을 따낸 바로 그 날이지.  

올림픽은 세계의 모든 나라에서 제일 잘 하는 선수들이 모여서 최고를 가리는 대회잖아. 그런 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거니까, 김연아 선수는 그야말로 세계 최고로 인정을 받은 셈이지. 바로 그 순간 김연아 선수는 얼마나 기뻤을까? 아마도 시험에서 백점을 맞은 것보다도 백 배, 아니 천 배쯤은 더 기뻤을 거야. 

그 날 김연아 선수도 너무너무 기뻐서 어쩔 줄을 몰라했어. 옆에 앉아있던 선생님인 브라이언 오서 코치를 껴안기도 하고, 관중석을 향해 두 손을 흔들기도 하면서 활짝 웃었지. 그런데 곧 시상식이 시작되고 애국가가 울려퍼지면서 경기장 맨 꼭대기로 태극기가 올라가기 시작하자 김연아 선수가 어떻게 했는 줄 아니? 김연아 선수는 갑자기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어. 갑자기 슬픈 생각이 들어서였을까? 아니야, 너무 기쁘고 감격했기 때문이야. 너무너무 기쁠 때는 눈물이 나기도 하는 법이거든.

자, 그럼 한 번 생각해보자. 백 년 전, 안중근 의사는 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다음 도망가지 않고 태극기를 흔들어댔을까? 또 그로부터 백 년 후, 김연아 선수는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된 기쁜 순간에 왜 태극기를 바라보며 눈물을 흘렸을까? 그 이유는, 태극기가 우리나라와 우리나라 사람 모두를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이야.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것이 개인적으로 그 사람이 미워서가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 모두를 대표해서 일본의 침략을 거부한다는 뜻을 전세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서였다는 걸 보여주어야만 했어. 그래서 총을 쏜 다음 우리나라와 우리나라 사람 모두를 상징하는 태극기를 휘두르며 당당히 잡혀가야만 했던 거야. 만약 그렇지 않고 안중근 의사가 불쑥 튀어나와서 총을 쏘고 무사히 도망쳤다면 어떻게 됐을까? 영악한 일본 사람들은 안중근 의사를 그냥 개인적인 원한이나 불만 때문에 총을 쏜 살인자 취급을 했을 거야. 그래야만 세계 사람들에게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본의 지배를 고마워하고 있다는 거짓말을 계속 할 수 있었을 테니까 말이지.

김연아 선수도 마찬가지야. 김연아 선수는 자신이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되었다는 사실도 기뻤지만, 자신을 응원해준 우리나라 사람 모두를 대표해서 그 자리에 올랐다는 생각을 하니 더욱 자랑스럽고 뿌듯해서 눈물을 참을 수가 없었던 거야. 자신이 은반 위에서 경기를 펼치는 동안 우리나라 사람들 모두가 함께 가슴 졸이며 기도하는 마음으로 응원해주고 있었다는 것을 김연아 선수도 잘 알고 있었거든. 그리고 금메달을 목에 건 채 하늘 높이 휘날리는 태극기를 보면서 우리나라사람 모두가 함께 기뻐하고 있을 거라는 것도 잘 알고 있었지. 그러니까 기쁨도, 감격도 모두 수천만 배나 커질 수밖에 없었던 거야. 그렇게 엄청난 기쁨과 감격이 밀려오는데 어떻게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가 있었겠니?

너희들도 월드컵 때 거리에서 태극기를 흔들거나 얼굴에 태극 무늬를 그려넣고 거리로 나가서 우리 대표팀을 응원해본 적이 있을 거야. 그럴 때면 우리나라 선수가 골을 넣고 경기에서 이긴다고 해서 우리에게 상이 내려지는 것도 아닌 데도, 마치 내가 골을 넣고 내가 이긴 것만큼이나 기뻐서 막 소리를 질러대게 되곤 하잖아. 그건 바로 그 순간에 태극기를 가슴에 달고 뛰는 경기장의 축구선수들이 우리나라 사람들 모두를 대표해서 골을 넣고 승리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거야. 

그렇게 국기는 자신의 나라와, 그 나라를 함께 이루고 있는 이웃들을 사랑하는 마음을 일깨워주곤 해. 3.1운동 때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태극기를 흔드는 사진을 볼 때나, 월드컵 경기가 벌어지는 운동장에서 애국가가 울려퍼질 때 괜히 마음이 울렁거리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지.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