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요국 금리 인하 시기와 폭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각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한 최 부총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 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동결 결정을 두고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부동산 PF 등 대내외 잠재 리스크 요인에 대한 우려도 상존하는 만큼 정부와 한국은행은 취약부문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필요시 관계기관 공조 하에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적기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연준은 31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정책금리를 이전과 같은 5.25~5.50%로 동결했다고 밝혔다.

또한 최 부총리는 자본시장을 위한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금융시장의 안정적 관리와 함께 우리 자본시장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한 정책 노력도 강화할 것"이라며 "자본시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특히 주식 투자자가 지난 5년간 1000만 명가량 증가하는 등 국민의 참여도 대폭 확대되고 있는데 우리 증시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된 저평가 현상을 위한 근본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불리는 한국 증시 저평가를 개선하기 위해 발표한 정책 방향은 △주주 가치 제고 △공정 시장 질서 확립 △수요 기반 확충 등 3가지다.

최 총리는 "미흡한 주주 환원과 취약한 지배 구조를 개선해 우리 증시 매력도를 높이겠다"며 "이를 위해 기업 스스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하도록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에 더해 △자사주 제도 개선 △불법 공매도 근절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세제지원 확대 등 증시 가치 확대를 위한 법 개정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최 부총리는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이 개선돼 우리 자본시장이 제대로 평가받는 한편 국민과 기업이 상생하는 장이 될 수 있도록 다각적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