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 최초로 재활용, 재생가능 소재를 제품 생산에 적극 활용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다고 6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넷제로(탄소중립)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 재활용을 중심으로 한 '순환경제' 시스템의 중요성이 부상함에 따라 재활용 소재 사용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도록 선제적 목표 수립·이행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재활용 소재는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나 사용 후 폐기된 제품에서 추출, 회수, 재가공된 소재다. 재생가능 소재는 자연에서 유래해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재생 가능한 목재 등 지속 가능 소재를 뜻한다.
SK하이닉스는 이번 로드맵으로 생산 제품 중 재활용 소재 사용 비율을 중량 기준 2025년까지 25%, 2030년까지 30% 이상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생산에 들어가는 필수 소재인 구리, 주석, 금 등 일부 금속 소재부터 재활용 소재로 전환하기로 했다. 금속 소재는 메모리 반도체 완제품 중량 중 차이 비중이 크고 타 소재로 대체도 어려워 재활용 시 자원 순환 측면에서 효과가 가장 크다.
SK하이닉스는 더불어 반도체 완성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플라스틱 포장재를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로드맵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 체제로는 △직접 구매 재활용 소재 인증절차·품질평가 강화 △협력사 납품 부품 소재 품질평가서 검토 후 적용 여부 결정을 세웠다. SK하이닉스는 ISO 14021 등 공신력 있는 외부기관의 재활용 소재 사용 비율 검증 및 인증에 협력사들도 동참하도록 소통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송준호 SK하이닉스 부사장(선행품질&분석 담당)은 "ESG 경영에 힘쓰는 기업으로서, 당사는 글로벌 순환경제 구축에 적극 동참하고자 한다"며, "로드맵을 실천하면서 고객과 협력사 등 반도체 공급망 내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힘을 합쳐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SK하이닉스, 2023년 4분기 영업익 3460억원…'흑자 전환'
- SK하이닉스, "메모리 센트릭 AI 시대 이끌어 나갈 것" [CES 2024]
- 최태원 SK 회장 "반도체 시장, 경영환경 대응·고객 종합 이해 필요"
- SK하이닉스, CES 2024서 AI 핵심 메모리 선보인다
- "반도체업계 최초" SK하이닉스, '가족친화 최고기업' 선정
- SK, CES 2024 참가…'넷제로 청사진' 제시한다
- SK이노베이션, 2023 연간 영업이익 1조9039억
- SK케미칼, 2023년 4분기 영업익 164억원…전년比 35.6% ↓
- SK하이닉스, 2024년 '행복나눔기금' 22억9천만원 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