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I서울보증보험 본사 전경. 사진=SGI서울보증보험
SGI서울보증보험 본사 전경. 사진=SGI서울보증보험

서울보증보험이 수요예측에서 부진한 결과를 받았다. 투자 매력도를 낮추는 오버행 우려를 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보증보험은 지난 13일부터 19일까지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대다수 참여 기관이 공모가 희망 범위(3만9500~5만1800원) 하단 이하에 주문을 넣은 것으로 전해진다.

총 공모주식수는 698만2160주로, 예상 공모액은 2757억~3616억원이다. 상장 후 시가총액은 2조7579억~3조6167억원 수준이다. 

서울보증보험은 최대 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93.85%를 보유하고 있다. 신주 발행 없이 100% 구주 매각으로 진행되고, 구주 매출도 고스란히 공적자금 상환에 쓰인다. 

상장 후 유통 가능 물량은 14.1%에 불과하지만 상장 규정에 따라 매각 제한이 걸린 예보의 보유 물량은 6개월 뒤 모두 풀린다. 상장 6개월 이후부터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에 따른 오버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예금보험공사는 지속적 지분매각을 예고했는데, 주가 상승 여력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그 외 보험업계 기업들에 비해 PBR이 높아 기업가치가 과대평가 됐다는 점, 높아진 시장 금리로 고배당 매력이 희석된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수요예측이 부진하자 상장철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서울보증보험은 23일 수요예측 결과를 발표하고 공모가를 확정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