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HMM
사진=HMM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6% 증가했다. 2분기 연속 흑자로 제조업과 순수출이 증가한 덕이다. 다만 수출이 줄고 수입은 더 감소하면서 불황형 성장 기조를 보였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에 따르면 올해 2분기 2분기 실질GDP는 전분기 대비 0.6% 성장했다. 전년 동기 대비 0.9% 승상이다.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 분야에서 늘었지만 석유제품과 운수서비스 등이 줄며 1.8% 감소했고 수입은 원유와 천연가스를 중심으로 4.2% 하락했다.

민간소비는 올해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음식·숙박 등 서비스 소비가 줄어 0.1% 감소했고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현물수혜가 줄어 1.9% 하락했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0.3% 하락했고,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늘었으나 운송장비가 줄어 0.2% 감소했다.

성장률에 대한 민간 기여도는 1.1%p로 전 분기보다 0.5%p 증가했다. 반대로 정부 기여도는 -0.5%p로 전분기(-0.3%p)에 비해 낮아졌다. 순수출의 경우1분기 -0.2%p를 기록했던 기여도가 2분기 1.3%p로 크게 개선됐다.

민간소비는 0.3%p에서 -0.1%p로, 정부소비는 0.1%p에서 –0.4%p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건설투자는 0.2%p에서 -0.1%p, 설비투자는 -0.5%에서 0.0%p로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소비 확대로 2.8% 증가했고 농림어업은 재배업을 중심으로 5.5% 성장했다. 서비스업은 음식·숙박이 줄었으나 운수업 등이 늘어 0.2% 증가했다.
반면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수도, 하수 및 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등이 줄어 6.0% 감소하고 건설업은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3.4% 줄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GDP 증가(0.6%)에도 교역조건 악화로 증감 없이 1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