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 카드사에 이어 보험사에 취약계층 지원 등을 통해 '상생 경영'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하고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이복현 원장이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한화생명의 '2030 목돈마련 디딤돌 저축보험'과 출시 계획 및 '취약계층 케어 프로그램 실행 계획' 발표 행사에 참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원장은 한화생명이 출시 예정인 이들 상품이 '따뜻한 금융'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되길 희망하면서 어려운 대내외 환경에서도 청년 및 취약계층 등을 위한 경제적 지원 및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준 것에 감사를 표했다.
이에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이사는 "결혼 및 출산, 자립 기반 구축 등을 걱정하는 2030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깊이 고민했고 청년들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 디딤돌 역할을 하는 목돈 마련 저축성 보험을 개발하는 것을 계획 중"이라고 화답했다.
한화생명이 이번에 발표한 '2030 디딤돌 저축보험'은 보험업권 최초 '상생 1호 금융 상품'으로 개발 과정을 거쳐 1~2개월 내 출시할 예정이다.
2030 디딤돌 저축보험은 5년 만기 저축보험으로 가입 대상은 가구소득 중위 200% 이하인 만 20~39세까지로 은행의 청년도약계좌보다 가입 대상을 넓혔다. 보장 금리는 5년간 5%가 기본이며 보험 기간 내 결혼 또는 출산 시 납입액의 일정률을 보너스로 지급해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문제 해결되는 도움을 주는 상품이다.
이복현 원장은 "최근 우리 경제의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국민의 보호망으로서 보험산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이러한 시기에 한화생명이 발표한 상생 보호 상품 및 취약계층 지원 방안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원장은 "다른 수출산업과 달리 금융산업은 홀로 성장할 수 없기에 국민 그리고 국가 경제와 함께 발전해 나가야 한다"면서 "어려운 시기일수록 금융사들은 스스로만을 챙기기보다는 함께 상생하고 위기를 극복할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좋은 상생 금융상품 개발과 취약계층 지원 그리고 국민과 산업에 대한 자금공급 노력 등을 통해 국가 경제를 지원하고 뒷받침한다면 금융산업은 미래에 더 큰 발전의 과실을 얻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한화생명은 상생금융 상품 발표와 더불어 취약계층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상생친구 프로젝트'도 발표했다.
한화생명은 생생친구 프로젝트를 통해 월드비전, 한국사회복지관협회 등 협력 기관과 함께 가족 돌봄 청년의 자립 지원, 저소득층 청소년 금융교육 제공, 문화소외계층 아동을 위한 문화체험 지원, 보호시설 아동·청소년 건강증진 프로그램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감원과 한화생명은 2억원의 후원금을 모아 월드비전에 전달했다.
- 이번엔 보험사…이복현 금감원장, 13일 한화생명 간다
- 한화생명,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한화생명, 'The걱정없는 치매보험' 출시
- 한화생명, '2023 한화생명 VIP 고객 서비스 기부금' 전달식
- 이복현 "비 올 때 우산 뺏지 말라" 중소기업·소상공인과 상생 강조
- 이복현 금감원장, 동아시아·태평양 금융감독기관장 회의 참석
- 힘들다던 증권사들, 부동산 PF 부실에도 3525억 성과급 파티
- 금융분쟁조정 속도 빨라진다…'신속상정제도' 11월 시행
- 금융당국 "상생하라" 외침에 카드사는 골머리
- "한화생명 빼곤 없네"…보험사 '상생금융' 왜 안 내놓나
- 월 75만원으로 5년만에 5천만원 목돈 만드는 '상생금융' 상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