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을 통해 비대면 원스톱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한 '대환대출 플랫폼'이 본격 가동 하면서 카드사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 긴장감이 감지되고 있다.
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번 대환대출 플랫폼에 KB국민·롯데·우리·삼성·신한·하나·현대카드 등 7개 카드사가 참여했다.
이번 대환대출은 고객이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이용해 과거에 받은 대출 보다 더 나은 조건의 다른 금융사로 옮겨갈 수 있는 서비스다. 금융당국은 온라인 대출이 치열해지면 금리 인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플랫폼 운영 첫날인 지난 31일 총 2068건의 대환대출이 발생해 약 10%의 금리 인하 효과가 발생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둘째 날인 1일은 3887건의 대출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환대출 플랫폼 등장으로 금리 경쟁이 격화되면 상대적으로 금리 경쟁력을 가진 인터넷은행과 시중은행 등 1금융권이 유리할 전망이다.
2금융권은 금융당국의 대환대출 인프라 계획 발표 초기부터 고객 유출 우려를 제기했다. 1금융권과는 달리 2금융권은 상대적으로 금리 경쟁에 나서기 어렵다는 이유다. 실제로 대환대출 시행 후 저축은행에서 받은 연 15.2% 신용대출을 연 4.7%의 시중은행 대출로 갈아탄 사례도 있다.
7월부터 가능한 카드론에서 은행으로 대환대출 이용 시 중도상환수수료가 거의 없을 전망이라 카드업계를 중심으로 고객 유출 우려의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제2금융권 전체의 고객 유출로도 이어져 경영악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일각에선 대환대출 플랫폼이 최근 불거진 2금융권의 연체율 관리에는 긍정적일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카드대출을 갚기 위해 높은 이자율의 카드론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대거 대환대출로 몰려가게 된다면 연체율이 감소할 것이라는 이유다.
올해 1분기 기준 전업 카드사 중 상위권인 신한·삼성·KB국민·롯데·현대카드는 1%대의 연체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평균 0.37% 상승한 수치로 카드사들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결제 대금 및 장기카드대출 이용자 등의 연체가 증가했던 것으로 분석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고객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금융고객 편의를 위해 정부가 진행한 만큼 고객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지난 1일 저축은행 업권 차원에서 취약·연체 고객에 대한 채무조정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금융지원정보를 통합해 제공하기 위해 '금융재기지원 종합상담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