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서울시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높이 180m의 대관람차 ‘서울링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8일 세계 최대규모의 서울형 대관람차 ‘서울링’을 마포구 상암동 소재 하늘공원에 조성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부터 대관람차 입지 결정에 ‘한강에서 보여지는 모습과 대관람차에서 바라보는 경관이 서울의 대표적 경관이 되어야 한다’는 주요원칙을 세우고 상암동 하늘공원을 포함, 노들섬, 여의도공원, 수도자재센터, 잠실 등 다양한 후보지를 검토해왔다.

구체적인 선정 기준으로 접근과 주변 관광인프라, 조망, 랜드마크, 균형발전 측면 등을 고려한 결과 남북 화합과 서울의 관문으로서 상징성이 있는 하늘공원이 최종 선정됐다. 서울시는 "하늘공원은 서울의 관문이자 남북통일시대 새로운 관문으로서의 상징성과, 지리적으로 북한과 가까운 남과 북의 결절점으로서 민족의 화합과 통일의 염원을 담겠다는 취지에서 의미 있는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강, 서울도심, 남산, 북한산 자연경관 조망이 가능하고, 쓰레기 매립지라는 과거와 서울이 지향하는 인류와 지구, 미래, 환경에 대한 정책적 의지를 실현할 수 있는 최적지로 평가됐다.

대관람차는 기존 전통적 방식의 살(Spoke)이 있는 디자인에서 탈피, 규모 180m 내외의 살 없는(Spokeless) 고리형태의 기술과 개방된 디자인으로 조성될 방침이다. 고리형태 디자인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디자인 검토과정에서 국내외 대관람차 설계업체, 대형 건설사의 자문을 통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했고, 추후 민간에서 더 진보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안받아 보완·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대관람차 규모 180m는 아인 두바이(폭 257m)에 이어 세계 2위 규모이며, 살이 없는(Spokeless) 고리형 디자인 기준으로는 세계 1위 규모이다. 탑승 인원은 시간당 1474명, 1일 최대 1만1792명 탑승이 가능하다.

대관람차 하부 공간에는 1978년부터 서울 전역에서 반입된 쓰레기 매립지라는 난지도의 역사와 의미를 알 수 있도록 매립지 퇴적층을 확인할 수 있는 체험 전시관을 조성하고, 인근 월드컵공원과 연계되는 지하연결통로를 만들어 접근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난지도의 역사적 의미를 경험하게 하고 각종 축제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문화·관광 및 소통의 장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또한 기후 위기 시대에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추구하는 시정철학을 반영해 서울링을 최신 친환경 기술이 집약된 시설로 조성한다. 과거 쓰레기 매립지에서 인류와 환경을 위한 순환경제와 기후행동의 세계적 상징물로 자리매김토록 해 서울의 국제적 위상과 도시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2025년 착공할 서울링은 2027년 말 완공될 예정이다.

키워드
#서울링 #서울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