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서울도서관
사진 제공=서울도서관

북촌과 남산길을 따라 걷는 서울도서관의 역사인문기행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서울도서관은 서울 도심 속 역사인문기행 '서울의 옛 도서관 길을 걷다' 상반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북촌 도서관 길’은 24일, ‘남산 도서관 길’은 다음달 21일에 개최되며 참여자 30명을 모집한다.

'서울의 옛 도서관 길을 걷다'는 서울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역사인문기행으로 서울 일대를 걸으며 근현대 역사 속 도서관의 옛터와 관련 문인들의 자취를 만날 수 있다. 올해는 3월, 4월, 9월, 10월 총 4회 운영된다.

개화기부터 근현대시대 서울의 도심 속 곳곳에 숨겨진 도서관 옛터와 도서관과 관련된 인물, 문인 등뿐만 아니라 역사 속 주요 사건들의 터를 역사 해설가와 함께 걸으며 자세히 알아본다.

총 4회로 운영되며 상반기에는 3월 ‘북촌 도서관 길’, 4월 ‘남산 도서관 길’을 운영하고 하반기에는 9월 ‘서촌 도서관 길’, 10월 ‘대학로 도서관 길’을 운영한다.

3월 ‘북촌 도서관 길’은 종로~북촌 일대를 걷는다. 근대 도서관이 탄생한 요람같은 공간으로 유길준·윤익선·이범승과 같은 도서관 선구자를 만날 수 있다.

종각역 3번 출구에서 집결하여 경성도서관의 옛터인 탑골공원, 시민에게도 개방된 헌법재판소 도서관, 정독도서관, 1만6천여 권의 디자인 서적을 보유한 현대카드 디자인라이브러리, 조선인이 세운 서울 최초의 근대도서관인 경성도서관 터 등을 지나 뉴욕타임즈에도 소개된 삼청공원 숲속도서관에서 마무리하게 된다.

4월 ‘남산 도서관 길’은 남산 중턱부터 충무로로 이어지는 길이다. 서울을 대표하는 도서관이 몰려 있던 공간으로 근현대시대 어두운 역사를 만날 수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용산도서관에서 출발하여 서울미래유산이자 경성부립도서관이었던 남산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건물로 쓰였던 서울과학전시관 남산분관, 일제강점기 김익상 의사의 폭탄 투척 터 등을 지나 일제강점기 조선헌병대가 자리했던 남산 한옥마을까지 걷는다.

서울도서관 오지은 관장은 “현재의 서울과 도서관 문화를 일군 사건과 인물을 만날 수 있는 기행을 준비했다”며 “역사 속 도서관 현장의 생생함과 아름다운 서울 길의 매력에 빠지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며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