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저시력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각 보조 솔루션 '릴루미노'의 보급에 앞서 의미 있는 첫 발을 내딛었다.
삼성전자는 최근 릴루미노의 사용 적합성 검증을 목적으로 경기도시각장애인복지관과 초기 사용자였던 송승환 배우 겸 감독에게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기기 30여대를 무상 시범 보급했다고 6일 밝혔다.
'빛을 다시 돌려주다'라는 뜻의 라틴어인 릴루미노는 저시력 장애인의 잔존시력을 활용해 사물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인 '릴루미노 앱'과 안경 타입 웨어러블 기기인 '글래스'로 구성돼 있다.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고 글래스와 USB 케이블로 유선 연결해 사용하며, 시각장애인의 약 90%를 차지하는 잔존 시력이 남아 있는 저시력 장애인이 사용 대상이다.
릴루미노 글래스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생활 속 이미지는 스마트폰의 릴루미노 앱에서 윤곽선 강조, 확대·축소, 색반전·대비 등 영상 처리를 통해 저시력 장애인의 사물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된다.
릴루미노 앱에는 저시력 장애인이 스마트폰 화면을 보지 않고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촉지감각'을 활용한 UX를 적용했다.
사용자는 글래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개선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나 유형에 따라 사용자별 최적화를 위한 개별 맞춤 설정도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삼성서울병원과 협력을 통해 릴루미노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사용자 안전이 검증되었고 별도 시각장애인 사용자 평가를 통해 기존 상용제품 대비 성능·피로도·사용성도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했다.
착한 기술 실현을 위한 7년의 여정
삼성전자의 릴루미노는 작지만 오랜 연구와 노력의 결과물이다. 지난 2016년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잔존 시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삼성전자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C랩' 과제로 채택됐다.
릴루미노 과제를 시작한 조정훈 연구원은 "시각장애인들 92%가 여가활동 1순위로 TV 시청을 꼽을 정도로 TV 의존도가 높지만, 실제 시청 접근은 어렵다는 조사결과를 보고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2017년엔 삼성전자 기어VR을 활용한 릴루미노 앱을 개발했고, 이후 실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해 안경 형태의 글래스 기기를 연구해 2018년 처음 컨셉 기기를 개발했다.
이후 수년간의 개선을 통해 착용감, 피로도 등 편의성을 높여왔다.
릴루미노 연구는 현재 삼성리서치에서 △안전성과 사용성 △품질 확보를 위한 글래스의 전파 인증 △임상시험 △SW 검증 △신뢰성 시험과 사용자 평가 등 끊임 없는 기술 고도화가 진행 중이다.
- LG전자, 전 서비스센터에 청각장애인 위한 수어 안내 도입
- 언론재단, 취약계층·사회복지기관에 신문구독 지원
- LG유플러스, 장애가정 청소년에 장학기금 전달
- bhc 해바라기 봉사단, ‘시각장애인 도서 제작 지원‘ 나서
- "지하철역에서 책 빌려요"…스마트도서관, 45개소 추가 개관
- 현대엔지니어링, 튀르키예 지역에 구호물품 후원
- SK에너지,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에 150억 기부
- 대우건설, 장애인 복지시설 ‘새롬의 집’서 2023년 릴레이 봉사활동 실시
- LG전자, 시각장애인 돕는 도서관 맞춤형 ‘클로이 로봇’ 공급
- 삼성전자·LG전자, ‘장애인 친화 가전’ 어디까지 진화했나?
-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맞춤형 경험으로 열어가는 초연결 시대’ 비전 제시
- 조주완 LG전자 사장, “모든 혁신의 시작과 끝은 고객”
- 삼성전자서비스,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서비스센터 부문 12년 연속 1위
- 삼성전자, 2023년형 Neo QLED·OLED 국내 공식 출시
- 문체부, 장애예술인 창작물 ‘3% 우선구매 제도’ 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