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의 ’이자 장사‘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증권사 역시 고객 예탁금을 통해 2조원에 육박하는 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30개 증권사는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투자자 예탁금으로 2조4670억원의 수익을 벌어들였다. 이 중 고객에 지급한 이용료율은 5965억원에 그쳤다.
예탁금은 이용료는 증권사가 투자자 예수금을 이용하는 대가로 지급하는 금액이다. 증권사는 관련 법률에 따라투자자 예수금을 한국증권금융에 전액 신탁 또는 예치한다.
한국증권금융은 해당 예탁금을 국채증권 또는 지방채증권, 금융기관이 지급을 보증한 채무증권 등 안정적인 곳에 투자한 후 그 수익금을 증권사에 배분한다.
증권사 예탁금 규모는 2019년 26조6500억원에서 2021년 68조189억원으로 2년새 두배 이상 증가했다. 2022년에는 59조7299억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4년간 예탁금 총액은 202조7253억원 규모로 나타났다.
지난 4년간 증권사가 받은 수익금은 2019년 4513억원, 2020년 4410억원, 2021년 5012억원, 2022년 1조735억원으로 총 2조4670억원이다. 이익률은 최대 1.94%에서 최저 0.80%로 나타났다.
이렇듯 증권사는 예탁금을 단순히 한국투자증권에 재예치만 해도 위험 부담없이 수익을 거둘 수 있다. 하지만 그간 증권사는 예탁금이 주식투자 대기자금인 만큼 예적금처럼 기준금리와 연동이 힘들다는 이유로 낮은 이용료율을 유지해왔다.
이용료율은 증권사 이익률 대비 현저히 낮다. 예탁금액이 50만원 미만인 경우 평균 0.1%~0.2% 수준이고 5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은 0.2%~03.%, 100만원 이상은 0.2%~0.4%로 나타났다.
올해 기준 증권사 중 예탁금 이용료율이 1%를 넘기는 곳은 KB증권과 토스증권 뿐이다. KB증권은 예탁금평잔 100만원 이상인 경우 1.03%를 제공하며 미만인 경우 0.05%를 제공한다. 토스증권은 금액과 무관하게 1%의 이용료율을 지급한다.
양정숙 의원은 "증권사는 고객이 맡겨둔 예탁금으로 아무런 위험부담없이 4년만에 2조원 가까운 이익을 벌어들였고 이러한 이익이 수십년간 이어졌던 점을 감안하면 그동안 누적 수익금액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익금액을 예탁금 주인인 고객에게 적정하게 돌려주도록 이익 배분에 관한 가이드라인 또는 증권사별 공시제도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