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방송영상독립제작사 매출이 4조50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이 국내외 방송영상산업의 주요 동향과 통계를 정리한 ‘2022 방송영상 산업백서’를 발간했다.
‘방송영상 산업백서’는 국내 방송영상산업 이슈 및 현황, 해외 방송영상산업 현황, 방송영상 이용 행태 등이 수록됐다. 특히 국내 방송영상독립제작사의 현황과 성장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방송영상독립제작사의 일반 현황, 매출액 현황, 수출입 현황 등을 조사한 결과를 수록했다.
2021년 기준 국내 방송영상독립제작사 매출액은 전년 대비 15.6% 증가한 4조5691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출액 또한 약 2억8477만달러(한화 3260억원)로 전년 대비 4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국내 방송영상독립제작사의 해외 수출액은 약 2억8477만달러(한화 3260억원)로 확인됐다. 이는 전년 수출액인 2억125만달러 대비 41.5% 증가한 수치다. 해외 수출 형태는 영상물 수출 비중이 전체 수출액의 53.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라이선스 판매 비율이 46.4%를 기록했다.
방송영상독립제작사의 사업체 수, 매출액, 종사자 수는 모두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였다. 2021년 12월 말 기준, 방송용 영상물을 제작하여 납품한 매출 실적이 있는 방송영상독립제작사는 732개로 확인됐다.
특히 매출액 10억~100억원 미만인 사업체 수가 239개로 전년도(204개) 대비 35개(2.2%) 증가했고, 매출액 100억원 이상을 기록하는 사업체수가 전년 대비 8개 증가한 73개(10%)로 확인됐다. 또한 국내 방송영상독립제작사 종사자 수는 2021년 12월 말 기준 총 1만3568명으로, 전년도 대비 462명(3.5%) 증가했다.
방송영상독립제작사의 총 매출액 4조5691억원 중 프로그램 제작·납품 관련 매출액은 3조9770억원으로 총 매출액의 87%를 차지하며, 이는 전년 대비 21.1% 증가한 수치다. 세부 구성 내역을 살펴보면 ▲판매 수입 2조9418억원(64.4%) ▲라이선스 수입 7822억원(17.1%) ▲간접광고 수입 237억원(0.5%) ▲협찬 수입 1421억원(3.1%)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프로그램 제작·납품 관련 매출액을 영상물 제작 장르별로 살펴보면 ▲드라마가 2조9667억원(64.9%)으로 가장 많고, ▲오락·예능 5035억원(11%) ▲교양·시사 2600억원(5.7%) ▲다큐멘터리 1014억원(2.2%)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드라마의 경우 프로그램 제작 건수는 644건으로 전년(390건) 대비 165.1% 증가한 것으로, 타 장르는 전년 대비 모두 제작 건수가 감소했음에도, 드라마는 유일하게 제작 건수가 증가한 장르로 나타났다.
‘2022 방송영상 산업백서’는 국내 방송영상독립제작사 대상 실태조사와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정보들이 담겨있으며, 방송영상산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콘진원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콘진원, 콘텐츠 분야 ESG 관련 연구보고서 발간
- 제2의 '우영우'·'재벌집' 키운다…콘진원, 957억 투입
- 콘진원·CJ ENM과 신인 창작자 지원 업무협약 체결
- 한-UAE 문화협력 양해각서 체결…전통문화·예술 교류 확대
- 오프라인서 만나는 K-패션의 미래…콘진원, 팝업스토어 오픈
- 콘진원, '문화체육관광 R&D 사업' 신규과제 공모
- 제2의 '우영우'·'재벌집' 키운다…콘진원, '콘텐츠금융제도' 추진
- K-콘텐츠 선도할 인재양성…콘진원, '150억 규모' 전문기관 모집
- 공연 업계 활성화 돕는다 …콘진원, '대중음악 지원사업' 추진
- 케이블TV방송협회, 지역채널 우수프로그램 8개작 선정
- 콘진원, 청년과의 소통 위한 ‘청년정책협의체’ 발족
- KBS, 공영방송 50주년 기념식…미래비전 발표
- 창작뮤지컬 ‘아르토, 고흐’, 中 수출…상해 무대 오른다
- 영등위, 분야별 소위원회·전문위원 등 위촉 공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