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든지 한국어로 자유롭게 소통하고 동시에 K-컬처를 체험할 수 있는 ‘메타버스 세종학당’이 정식 운영된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세종학당재단(이하 재단)과 함께 '메타버스 세종학당'을 기념하는 행사를 7일 오후 4시, 서울 동대문구 콘텐츠문화광장에서 개최한다.
기념행사에는 문체부 최수지 청년보좌역과 2030 자문단, 재단 홍보대사인 방송인 다니엘 린데만(독일), 알베르토 몬디(이탈리아), 럭키(인도) 씨가 함께할 예정이다.
‘메타버스 세종학당’은 ▲한국어 수업이 진행되는 강의동, K-컬처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체험동, 대규모 행사가 열리는 행사동 등으로 구성된 ‘캠퍼스 공간’과 ▲한국 일상생활을 체험하면서 한국어 말하기 활동을 할 수 있는 ‘마을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 공간’에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서울역, 한강공원, 광장시장 등 한국의 대표적인 명소도 있다. 또한 각 공간은 현지 세종학당에서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기본교재인 ‘세종한국어 회화(재단 발간)’의 학습 과정과 긴밀하게 연계해 구성한 만큼 학습자들은 다양한 대화 공간에서 몰입감 있게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다.
'메타버스 세종학당'은 개발도상국 등 정보기술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국가에 거주하고 있는 학습자들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구축했다. 3차원보다 대규모의 동시접속자 수를 수용할 수 있는 2차원 그래픽 기반의 무료 플랫폼을 선정하고, 웹 기반으로 구성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여건이라면 누구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문체부와 재단은 지난해 11월25일부터 12월31일까지 ‘메타버스 세종학당’을 시범 운영했으며, 서비스 공개 당일 총 4643명이 방문한 것 외에도 총 123개국에서 일일 평균 학습자 480명이 접속해 한국어로 소통하는 성과를 얻었다.
정식으로 운영하는 ‘메타버스 세종학당’에서는 방 탈출 지도 외에도 한국 생활을 실감 나게 체험할 수 있는 ‘한국생활 360° 가상현실(VR) 영상’ 2종을 먼저 새롭게 공개한다. 이후 매월 순차적으로 한국민속체험마을, 놀이동산 등의 새로운 지도(맵)와 ‘한국생활 360° 가상현실(VR) 영상’ 12종, 한국어·K-컬처 체험 게임 콘텐츠 3종을 공개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즐길 거리를 계속 제공할 예정이다.
- "K-아트 도약의 원년 삼자" 박보균 장관, 8기 예술위와 첫 간담회
- 100년 전 외국인 선교사들은 서울에서 어떻게 살았을까
- 다보스서 빛난 ‘한국의 밤’…‘2030 부산엑스포’ 유치 홍보
- 한국문화정보원 창립 20주년…디지털혁신 미래비전 선포
- ‘한일 저작권 포럼’ 14일 개최…AI·메타버스 저작권 정책 논의
- 가상에서 펼쳐지는 K-패션의 향연…'KMFF 2022' 개최
- 광교산부터 만석공원까지…수원 겨울 명소 10선
- 경기도 생태관광 거점은 어디…시·군 6곳 공모
- 문체부, ‘1인 광고콘텐츠 창작자 양성’ 교육생 모집
- K-콘텐츠 발전 방안은…문체부, 서비스산업발전TF 제2차 회의
- 세종학당재단-KOTRA, 한국어·한국문화 확산 위해 맞손
- 중동에 韓문화 알린다…세종학당재단-UAE 샤르자 ‘맞손’
- 문체부, 세종학당 16개국 19개소 신규 지정
- 세종학당 350개소로 확대…문체부, 한국어 세계화 전략 발표
- 잠실한강공원 나들목서 만나는 반 고흐…‘래빗뮤지엄’ 개장
- 문체부, 비슈케크·브뤼셀 등 최우수 세종학당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