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
사진제공=(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

4만6000여 작사, 작곡가의 저작권을 신탁 관리하는 국내 최대 음악 저작권 신탁단체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한음저협)가 2022년도 음악 저작권 사용료로 3520억원을 징수하고 3280억원을 저작권자들에게 분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한음저협이 기록한 징수와 분배 모두 역대 한해 최대 증가 기록이다. 징수는 추가열 회장 취임 전인 2021년 2885억원에서 취임 이후 635억원이 늘었고, 분배 또한 2564억원에서 716억원이 늘었다. 매체별로는 음원 스트리밍, 유튜브 등 디지털 매체로 대표되는 전송 분야에서만 약 1578억원을 징수했다.

또한 한음저협은 CD 등 음반 제작 등에 따른 사용료인 복제 분야에서도 약 787억원을 거둬들이며 예산을 훨씬 웃도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복제 분야는 2019년 징수액 352억원에서 3년 만에 2배가 넘게 증가했다고 전했다.

2020년 징수액 389억원에서 2021년에는 419억원으로 두 해 연속 감소세였던 방송 분야는 약 509억원을 징수하며 반등을 이뤄냈다. 코로나19로 인해 50% 가까이 감소했던 공연 분야 또한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공연 시장 활성화로 인해 약 390억원으로 늘었다. 이밖에 해외 지역에서 사용된 우리 음악에 대한 저작권료는 약 220억원으로 전년 대비 40억원 더 징수됐다.

추가열 회장은 "취임 이후 징수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 했던 한 해였는데, 이렇게 소기의 성과를 이뤄내 국내 음악인들에게 보답해드릴 수 있게 돼 기쁘다"라며 "올해는 전사적인 입법 활동을 통한 저작권법 개정과 국내 OTT 음악 사용료 미납건 및 방송 미계약 등 개선돼야할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