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2019년부터 올해까지 진행된 경기지역의 조선시대 수군진 조사·연구 성과를 담은 '조선시대 수군진조사Ⅴ: 경기지역' 보고서를 발간했다.
앞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해양문화유산 종합학술조사연구사업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지역별 조선시대 수군진에 대한 조사연구 성과를 정리한 '조선시대 수군진조사' 연작을 발간해왔다. 경기지역편은 '전라우수영'(2012), '전라좌수영'(2014), '경상우수영'(2016), '경상좌수영'(2018)편에 이은 다섯 번째 보고서다.
경기지역의 수군진은 방어체계의 재편이 많아 다른 지역에 비해 설치와 이동이 잦았다. 이를 고려해 이번 보고서에는 경기지역 중에서도 이미 조사가 끝난 강화도와 근대에 설치된 일부 수군진을 제외한 10개의 수군진을 엄선하여 수록했다. 보고서에는 경기지역 수군진의 역사적 연혁과 자료 분석을 통한 수군진 추정지역을 도출해내고, 해당 지역에 대한 현지조사 성과를 수록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경기지역 수군진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 문화재청의 문화재공간정보 서비스와 농촌진흥청의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추정지역의 옛 지형을 복원하고, 수군진의 입지를 분석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보고서 발간을 통해 경기지역 해양문화유산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를 높이고, 추후 제주지역 등으로 조사영역을 확장해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